본 논문은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과 ≪우리말샘≫,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의 한자 어명의 오류를 확인하고 이를 교정하기 위한 목적으로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 어명은 ‘노랑가오리, 명태, 서대, 반지’ 등의 한자 어명이다. 어명 오류의 연구 방법은 옛 문헌인현산어보, 우해이어보, 전어지 등의 어보(魚譜)와 물명고, 광재물보 등의 물명지에 나타난 어명을 비교 검토하고, 이를 어류대사전인 한국어도보(韓國魚圖譜)와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표준국어대사전, 한국어대사전, ≪우리말샘≫과 대조하여 오류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랑 가오리의 경우, ‘해계어(海鷄魚)’란 어명은 옛 문헌에 나타난 ‘해요어(海魚)’의 오독이며, ‘황홍(黃紅)’이란 어명은 ‘황홍(黃魟)’의 한자를 잘못 표기한 것이었다. 국어사전에 ‘해계어’란 어명은 한국어도보의 오류를 그대로 전재한 것이고, ‘황홍’의 한자 오표기는 사전 등재시 표기 오류이다. 둘째, 명태의 경우, ‘태어(駄魚)’는 ‘명태어(明鮐魚)’의 줄여 표기한 ‘태어(鮐魚)’의 오류이고, ‘북흥어(北薨魚)’는 마른 명태를 뜻하는 ‘북고어(北薧어)’를 오독한 것이다. ‘태어(駄魚)’는 정문기의 ‘태어(鮐魚)’를 잘못 표기한 ‘태어(駄魚)’를 그대로 반영한 것이고, ‘북흥어’는 한국어도보의 오표기를 그대로 전재한 것이다. 셋째, 서대의 경우, ‘북목어(北木魚)’는 ‘비목어(比目魚)’의 오류이고, ‘화저어(靴低魚)’는 ‘혜저어(鞋底魚)’의 오류이다. ‘북목어’는 한국어도보의 오표기를 그대로 전재한 것이고, ‘화저어(靴低魚)’는 ‘혜저어’의 ‘鞵`’와 ‘鞋’의 한자의 뜻에서 잘못 추론된 어명이다. 넷째, 반지의 경우, ‘근어(勤魚)’라는 어명은 밴댕이를 뜻하는 ‘늑어(鰳魚)’의 다른 표기인 ‘늑어(勒魚)’의 한자를 오독한 것이다. 이는 전어지의 오류를 그대로 한국어도보에 전재한 것을 수정 없이 표제어로 삼아 생긴 오류이다. ‘반초어(飯鮹魚)’는 ‘밴댕이’의 한자표기인 ‘반당어(伴倘魚)’를 ‘반초어(伴俏魚)’로 오해하고 이를 주꾸미의 다른 어명인 반초어(飯鮹魚)로 표기한 앞선 사전의 오류를 그대로 전재한 오류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correct errors in fish names in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Grand Korean Dictionary, ≪Urimalsam≫.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fish name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Alaska Pollock, Red Tongue Sole, and Bic eyed herring. The method of study is to first compare the ancient documents mentioned by fish names such as Hyeonsaneobo, Uhaeieobo, Jeoneoji and Mulmyeonggo and Gwang jaemulbo and then, compared with Hangugeodobo, to examine the errors against the Standard Korean dictionary, Grand Korean Dictionary, ≪Urimals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aegeyeo(海鷄魚)’ fish name in the stingray was an error in ‘Haeyoeo(海魚)’ and ‘Hwanghong(黃紅)’ was a misrepresent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Hwanghong(黃魟)’. The fish name ‘Haegyeeo(海鷄魚)’ appears because it reproduced the error of Hangugeodobo. Second, in the case of Alaska pollack, ‘Taeeo(馱魚)’ is the name of a fish that did not appear in the old literature. This is a shortened version of ‘Myeongtae(明鮐魚)’ and the Chinese characters were misrepresented. In addition, ‘Bukungeo(北薨魚)’, a name for dried pollack, is an error in ‘Bukgoeo(北薧魚)’ which is a reproduction of Hangugeodobo. Third, for Red Tongue Sole, the fish name ‘Bungmogeo(北木魚)’ is a Chinese character error in ‘Bimogeo(比目魚)’. This is also a transcription of the error in Hangugeodobo. In addition, the fish name ‘Hwajeoeo(靴低魚)’ is incorrectly spelled ‘Hyejeoeo(鞋底魚)’, which is the bottom of the shoe. Finally, the fish name ‘Geuneo(勤魚)’ in Bic eyed herring is an error in ‘Neugeo(勒魚)’, another notation of ‘Neugeo(鰳魚)’. This is the name of the fish that appeared to be reprinted in Hangugeodobo as the error in the notation of Jeoneoji and registered it as a heading without checking it. ‘Banchoeo(飯鮹魚)’ is a translation of the error of a previously compiled dictionary that confused ‘Banchoeo(伴俏魚)’ with ‘Banchoeo(飯鮹魚)’, the fish name of webfoot octopus [Jukumi]. However, ‘Banchoeo(伴俏魚)’ is a mistake in reading the Chinese character of ‘Bandangeo(伴倘魚)’, which is a Chinese character notation for large-eyed herring [baendaeng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