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구독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씨름의 유래와 변천
Ⅲ. 씨름의 특징
Ⅳ. 씨름의 인류무형유산 가치
Ⅴ. 맺음말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오늘도 씨름 한 판
번역하다
2022 .07
근대 일본어 신문 『釜山日報』의 스포츠 용어 연구 - 일 · 한 전통스포츠 스모와 씨름을 중심으로 -
일어일문학
2025 .02
인류무형유산 씨름의 남북 공동등재 의미와 과제
비교민속학
2019 .08
신문으로 읽는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의 ‘조선 역사·문화’ - 『동아일보』, 『조선일보』의 ‘조선 역사·문화’ 관련 텍스트 계량 분석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2022 .03
한ㆍ일 전통 스포츠 유래 관용표현 대조고찰 -씨름ㆍ활쏘기ㆍ말타기를 중심으로-
일본연구
2022 .08
남북 무형유산 교류 협력의 다자간 협력 틀 모색-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남북 공동 등재 사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2019 .01
세 가지 색 이야기 : 정세랑 소설 『청기와 주유소 씨름 기담』, 곽재식 소설 『이상한 용손 이야기』 ,김초엽 소설 『원통 안의 소녀』 창비 2019
창비어린이
2019 .09
‘원루쉰(原魯迅)’이 씨름한 근대의 개념들 — 리둥무, 『루쉰을 만든 책들: 메이지 일본과 진화·개인·광인』, 이보경·서유진 옮김(그린비, 2024) —
개념과 소통
2024 .06
通信使船 船員의 船上生活과 治療 : 1719년 大坂 尻無川의 사례
한일관계사연구
2018 .11
김일성·김정일 집권기 북한의 무형유산 인식과 김정은 시대의 계승 및 보호사업
무형유산
2024 .06
유네스코 체제와 한국의 무형문화유산
비교민속학
2022 .04
20세기 북한지역 단오의 지속과 변화에 대한 고찰 : 식민지 시기 단오의 양상과 6.25 이후 사회주의적 변용을 중심으로
한국민속학
2015 .11
농경과 세시 풍속의 상관성 연구 : 이앙법의 보급과 단오 풍속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18 .12
무형유산과 전형 담론
실천민속학연구
2024 .08
욕망과 타자화의 공간 ‘이스라엘’ : 창세기 32:25-33의 수용사 연구
장신논단
2017 .12
무형유산 아카이브의 저작권 쟁점에 관한논의 경과와 향후 과제
무형유산
2017 .06
민속학연구와 무형유산연구, 그 차이와 특징-전통농업을 중심으로-
무형유산
2020 .01
남북한 씨름의 지역적 분포
동양고전연구
2018 .01
일제강점기 지역축제로서의 단오(端午)의 지속과 변화 - 서울[京城]을 중심으로 -
동아시아고대학
2018 .01
북한의 ‘국가/민족관’과 그 변화양상 : 북한이탈주민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통일인문학
2022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