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1. 서론
2. 사회교육ㆍ교화사업과 오락문제
3. 총독부의 오락정책과 향토오락 장려
4. 1940년대 문화신체제와 오락문제
5. 맺음말
참고문헌
【日文抄録】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장르에 따른 인터뷰 담화 대조 연구: 뉴스 인터뷰와 예능 인터뷰를 중심으로
사회언어학
2024 .03
『논어』의 ‘樂’[즐거움]에 대한 고찰
동방학
2016 .01
다연(茶宴)인가, 주연(酒宴)인가 : 국립고궁박물원(國立故宮博物院) 소장 〈궁락도(宮樂圖)〉의 신해석(新解釋)
아시아 도자문화 연구
2022 .12
엔터테인먼트 기사문의 한일 번역 고찰 - 서술부 생략을 중심으로
통역과 번역
2017 .08
소통성의 관점에서 본 예능 프로그램의 자막 - 신어 사용을 중심으로 -
어문학
2019 .09
19세기 미국의 여가생활과 대중문화의 발전
전북사학
2015 .01
‘기쁘다’를 의미하는 ‘喜’, ‘樂’, ‘快’, ‘歡’에 대한 연구
한중언어문화연구
2021 .11
12世紀 南中國 讀書人의 오락과 유흥
중국사연구
2019 .01
〈유선쌍학록〉에 나타난 유흥의 양상과 기능
어문론집
2016 .09
간짜장의 희로애락(喜怒哀樂)
월간에세이
2021 .12
『맹자』의 리민(利民)과 여민(與民), 독락(獨樂)과 동락(同樂) 연구
동양철학연구
2022 .02
総力戦体制と芸能統制* ─謡本の本文改訂と新作能─
日本學硏究
2016 .01
전후 일본 TV 오락 프로그램과 냉전 정치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0 .08
행복감과 좋은 삶 : 「맹자」, 「양혜왕」장의 獨樂과 與民同樂의 이해를 중심으로
철학연구
2016 .12
오락 커뮤니케이션: ‘촛불혁명’, 분노에서 유희로
현대유럽철학연구
2018 .01
제주도 약마희(躍馬戱) 신고찰
구비문학연구
2019 .01
계몽과 오락 사이 : 1920년대 극장의 존재 조건과 담론의 연속성
한국현대문학연구
2018 .12
오락성을 향한 여정: 챕북과 탄생기 아동문학의 발달 과정과 상호성
18세기영문학
2020 .01
한국 초기 문화산업사에서 흥행의 합리화 과정에 대한 연구-1907~1920년대 초까지 흥행 주체를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2017 .08
藥南 李憲洛의 생애와 문학세계
한국한문학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