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최원선 (부산대학교) 박기성 (부산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중원언어학회 언어학 연구 언어학연구 제51호
발행연도
2019.4
수록면
161 - 182 (22page)
DOI
10.17002/sil..51.201904.16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ly, it investigates the interactions among the adverb translations according to the subtypes of adverbs in English and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Secondly, it attempts to compare the adverb translations by professional translators with the non-professional translators’. This paper is based on the syntactic classification of English adverbs proposed by Quirk et al.(1985). We focus on the matches and mismatches for adverb category in translated Korean texts and analyse whether the results on the matches and mismatches correlate with non-professional translators’ translations. For the analysis, 544 English adverbs and corresponding Korean translations are collected from an English source text and the Korean target text. It is shown that 81% of adjuncts, 67% of disjuncts, 52% of conjuncts and 53% of subjuncts are translated with adverb category. The part-of-speech shifts for adverbs, which clearly show the typ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re expressed in Korean translations with verbs, adjectives, nouns, postpositions and connective suffixes. Non-professional translators tend to translate English adverbs into Koran adverbs and their translation doesn’t seem to reflect Korean typological characteristics.

목차

1. 서론
2. 영어와 한국어 부사의 언어적 특성
3. 영어 부사 번역 분석 결과
4.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705-000723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