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문제 설정: 콜버그의 도덕 발달론과 최고 단계의 정초 가능성
2. 콜버그에서 도덕 판단 능력의 최고 단계
3. 제 6단계의 규범적 정의 기준: 가역성으로서의 정의
4. 도덕 의식의 최고 단계와 선험화용론적 최후정초
5. 아펠의 책임 윤리학적 7단계 요청
6. 결론: 콜버그의 최고 단계에 대한 아펠의 대안이 갖는 철학적 의미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도덕 발달의 철학과 담론 윤리학
철학연구
1995 .05
도덕적 발달에 있어서 “역할취하기” : 콜버그의 인지적ㆍ발달심리학적 이론
신학과 목회
1990 .04
왜 내가 도덕적이어야 하는가?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1992 .03
도덕발달을 위한 종교교육 : 콜버그(Kohlberg)의 도덕발달이론과 에릭슨(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2000 .03
윤리학에서의 반이론논쟁
철학
2004 .05
도덕 시간에 울다
창비어린이
2015 .09
도덕적 개념으로서의 합리성
철학과 현실
1993 .03
도덕적 합리성의 유형에 관해
현상학과 현대철학
1993 .12
콜버그는 칸트주의자인가? : 도덕발달의 철학과 도덕법의 철학
철학
2012 .02
미래 사회의 변화와 도덕교육의 발전 방향: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중심으로
윤리연구
2019 .01
문화연구방법론에 관한 고찰-콜버그와 와츠지의 도덕문화 연구방법론을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2004 .07
왜 보수와 진보는 각기 다른 도덕 시스템을 갖고 있나?_도덕 기반 이론 외
인물과사상
2017 .10
콜버그 『도덕발달의 철학』에서 정의의 문제
동서사상
2007 .08
종교와 도덕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 한국 기독교의 도덕성 수준의 문제를 중심으로
신학과세계
2009 .04
아펠의 철학사상과 그 발전경로
철학과 현실
1998 .09
칸트, 인간의 도덕적 감수성에 관하여 : 도덕법에 대한 존경심을 중심으로
철학
2015 .05
콜버그 대 길리건 : ‘정의’와 ‘배려’는 도덕원리로서 양립 가능한가?
대동철학
2011 .01
다원주의 사회에서 도덕적 행위 : 도덕성과 인륜성
철학연구
2011 .09
도덕 교육에 대한 반성
철학연구
2004 .08
호르크하이머의 비판적 도덕철학
철학논총
2010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