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자료의 설명
Ⅲ. 자료의 분석
Ⅳ.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60년대 말 부산 제조업의 선택- 1968년 『부산상공명감』의 분석 -
항도부산
2024 .07
해방 이후 1950년대까지의 대구 공업에 관한 연구
대구사학
2018 .01
1980-90년대 부산 기업의 역외이전
항도부산
2016 .01
해방 후 1950년대 부산의 기업과 경제
항도부산
2023 .02
일제강점기 부산부 편입지역의 공업 동향과 입지
항도부산
2023 .02
전시체제기 인조섬유공업의 식민지적 분업구조
한일관계사연구
2018 .05
미군정기 중앙공업연구소의 설치와 구성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22 .09
공업도시 영등포의 형성과 그 흔적 : 광복 이전 공업시설을 중심으로
역사와현실
2024 .09
구체제의 읍치 동래와 식민도시 부산진으로의 분화와 통합 : 부산의 근현대와 새로운 지역연구 성과
대구사학
2021 .01
부산 연구의 동향과 특성 : 언어 네트워크 분석과 토픽 모델링 분석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2024 .02
여성의 경제활동으로 본 환류 주체의 의미 - 부산 지역의 신발 제조 노동자를 중심으로
로컬리티 인문학
2023 .10
1971년의 한국 현대조선공업 시작은 정말 어떠하였는가?
한국민족문화
2016 .11
삼선건설과 공업도시
역사비평
2021 .02
잡지『공업계(工業界)』(1909-1910)를 통해 본 한국 산업디자인의 시원 고찰
人文科學硏究
2024 .08
1980년대 이후 신발기업의 도산이 부산경제에 미친 영향
항도부산
2023 .02
동아시아 제조업 업종별 고용효과의 DEA를 활용한 분석-한국의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2017 .01
해방 이후(1945~1950) 북한 방직공업 정책의 전개와 성격 : 식민지 경제유산의 계승과 극복 과정에 분단이 미친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2016 .05
아시아태평양전쟁과 부산의 군사기지화
항도부산
2022 .08
부산 독립영화의 현실과 과제 - 영화 제작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
한국민족문화
2023 .11
글로벌경제사 속의 일본공업화론 : 비판적 평가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9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