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벼리〉
1. 들어가는 말
2. 앞선 연구 고찰
3. ‘들’과 ‘tou’, ‘twei’, ‘mya’의 개념과 대조 분석
4. 교육 방안
5.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韓國語 複數標識 ‘들’에 對한 考察 - 依存名詞 ‘들’을 中心으로 -
어문연구(語文硏究)
2018 .01
복수접미사 ‘-들’과 서양 문법의 ‘수 범주’ 연구 - 대학생 글에 보이는 복수접미사 ‘-들’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말교육현장연구
2017 .01
대상지배적/행동지배적 언어유형론과 영어와 한국어 복수표지의 상호작용
언어학 연구
2017 .07
복수 표지 ‘들’의 문법적 지위 고찰
영주어문
2020 .01
영어명사복수형의 형태·음운론적 제약
코기토
2019 .06
복수를 합시다
자음과모음
2019 .12
복수를 합시다
자음과모음
2020 .03
복수를 합시다
자음과모음
2019 .09
‘들’의 분포와 의미 기능에 대한 통시적 고찰
국어사연구
2018 .01
한국어 간접복수표현의 의미 해석 -‘-마다’와 ‘매’의 의미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17 .01
미얀마어의 주격 표지와 정보구조 : 한국어와의 대조를 기반으로
한국언어학회 학술대회지
2017 .06
현대중국어 복수성 표현 방식 고찰
중국언어연구
2020 .01
현대중국어의 복수사건과 허사 의미
중국어문논역총간
2019 .01
한국인 성인 화자의 외재적 복수 표지에 대한 이해- 동사부착 복수표지에 대한 제고
인문사회과학연구
2018 .01
복수표지와 개체양사의 상관성 분석 - 중국 내 소수민족 언어를 사례로
중어중문학
2021 .09
한국어와 스페인어의 복수표지 번역 전략 연구
번역학연구
2024 .12
중국어 수 표지 체계의 변이 양상 연구
중어중문학
2019 .09
The Effect of Noun Animacy on L2 Processing of the English Plural Morpheme –s by Korean and Chinese Learners
영미연구
2022 .02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수분류사 구문의 수사 제약에 따른 한국어 복수 표지 습득
언어연구
2024 .02
한국어와 미얀마어의 합성명사 대조 연구 -외래어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