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Hyekyoung Song (한님성서연구소)
저널정보
신학과사상학회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No.82
발행연도
2019.1
수록면
107 - 150 (4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역사적 예수’는 오랫동안 신학 및 역사 학계에서 주요 주제로 논의되어 왔다. 실제로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이 여러 비평 방식을 동원하여 예수를 연구하고 있다. 그런데 역사적 예수 연구자들이 풀어야 할 중요한 숙제가 있다. 그들은 대개 나자렛 예수의 역사적 실존을 기정 사실로 받아들이지만, 예수가 실존했음을 증명할 물리적·고고학적 증거는 없다. 예수가 직접 썼다는 글도 없다. 신약성경 말고는 예수 시대에 만들어진 다른 어떤 독립된 자료도 예수를 증언하지 않는다. 따라서 역사적 예수 연구가 의미 있으려면 먼저 예수의 역사적 실존부터 검증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예수 처형 이후 100년이 지나기 전에 만들어진 유대 및 로마의 비-그리스도교 자료 가운데 몇몇 본문이 예수(또는 그리스도)를 언급하고 있다. 요세푸스, 타키투스, 소 플리니우스, 수에 토니우스가 이에 해당한다. 나는 이 논문에서 예수나 그리스도를 언급한 앞의 본문들을 면밀히 조사하였다. 그리고 해당 본문들이 예수의 역사적 실존을 뒷받침할 증거로서 신뢰할 만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 예수와 같은 고대 인물에 대해, 그의 실존을 증명할 독립된 자료들이 지금껏 전해진다는 것은 상당히 드문 경우다. 그렇다고 예수의 역사성 연구에서, 증거 부족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니다. 나는 신약 외경 복음서들이 이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외경 복음서가 예수의 실존을 증명할 추가 자료로서 기능할 가능성이 충분하기 때문이다. 특히 비교적 이른 시기에 저술되었으며 영지주의 경향을 거의 보이지 않는 본문들이 그러하다. 이 두 가지 조건을 충족하는 외경 복음서로는 에비온파 복음, 옥시린쿠스 840, 에게르톤 2 복음, 베드로 복음, 토마스 복음 등이 꼽힌다. 이 본문들은 예수의 역사성 연구에 도움이 될 가능성이 높기에 이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연구를 시행할 것을 제안한다.

목차

1. History of Academic Jesus Research
2. Status Quaestionis
3. Historicity of Jesus
4. Post Script : the Apocryphal Gospels as Potential Resources for the Historicity of Jesus
Bibliography
Abstract
국문초록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