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초록
Ⅰ. 시대의 기표
Ⅱ. 고래를 바라보는 두 개의 시선
Ⅲ. 검열 이후의 텍스트 변화
Ⅳ. ‘고래’와 검열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Place-making, Landscape and Materialities: Whales and Social Practices in Ulsan, Korea
한국문화인류학
2017 .01
한문학에 나타난 ‘고래’에 대한 인식과 그 문학적 형상
동방한문학
2015 .01
반구대 암각화 고래도상의 미술사적 의의
강좌 미술사
2016 .01
베트남 붕따우 푹하이마을(PHUOC HAI)의 남해고래무덤
인문콘텐츠
2019 .09
현대식 상업포경의 확대와 나치 독일의 남극해 포경
독일연구 - 역사·사회·문화
2019 .01
생태 안정성에 대한 기억과 프레카리아트의 상상력 - 듀나의 「죽은 고래에서 온 사람들」에 대한 의료-환경 인문학적 접근
문학과환경
2023 .06
Shadow of History : Reconsidering Vietnamese Whale Worship from a Historical Perspective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5 .10
고래 외 1편
시조시학
2019 .12
고래 외 4편
시조시학
2023 .06
나의 고래
월간에세이
2021 .06
고래를 보았다 외 1편
문학들
2015 .11
동아시아 태평양의 두 고래이야기 : 捕鯨과 鯨神 : 한반도 남해안을 중심으로
도서문화
2017 .12
고래보다 못한 선택
인물과사상
2015 .06
검찰은 왜 고래고기를 돌려줬을까 (황운하, 조성식 지음)
한국여성신학
2019 .12
『혀』와 『고래』 속의 의태어 中譯 양상 고찰
언어과학연구
2018 .09
남과 북 하염없이 : 고래 1
시조시학
2016 .08
『혀』와 『고래』속의 의성어 中譯 양상 고찰
언어과학연구
2016 .12
단어 연상 검사에 기반한 ‘개, 금붕어, 고래’의 지식모형 구축과 개념적 존재 가치
어문학
2017 .09
우리마을 : 눈물로 만든 고래, 희망을 주는 고래가 되다 _ 고래 마을 이원면 장찬리
월간 옥이네
2023 .02
허만 멜빌의 『모비 딕』에 나타난 포경 항로와 19세기 북태평양의 정치적 상황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17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