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2001년 미니 다큐 찍으러 예멘 방문
순박하고 때 묻지 않은 사람들
공포의 현장이었던 2011년 ‘아랍의 봄’
다시 취재 갈 수 없는 땅, 예멘
폭격과 전쟁으로 살 수 없는 ‘지옥의 땅’
각 부족들, 장손 지키기 위해 외국으로
반드시 자기들 땅으로 돌아갈 것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사회 반난민 담론의 부상과 구성 : 제주 예멘 난민 사례
전남대학교 글로벌디아스포라연구소 국내학술회의
2018 .12
예멘 난민 보도 3년후··· 난민 보도가 나아갈 방향을 고민한다
언론중재
2021 .12
난민에 대한 뉴스 보도 연구: 예멘과 아프가니스탄 난민 사태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22 .04
예멘 난민 사태로 본 무슬림 혐오, 무엇이고 왜 문제인가
마르크스21
2018 .10
국제인권교육의 현황 및 개선 방안: 제주도 예멘 난민 문제를 계기로 (CP2018-19)
[KEDI] 연구보고서
2018 .01
(비)이동성의 정치 : 예멘출신 난민 신청자들의 제주에서의 경험 연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19 .12
세계시민성 관점에서 본 제주도 예멘 난민 사태와 한국 다문화교육의 과제
다문화교육연구
2019 .01
제주신보 ‘예멘인 난민 입국 첫 보도 및 연속 보도’_‘지역 뉴스에서 전국 핫이슈로’ 난민 취재는 진행 중
신문과방송
2018 .09
텍스트마이닝(Text Minning)을 통해 본 제주 예멘 난민 : 네이버 뉴스 댓글을 중심으로
다문화콘텐츠연구
2019 .04
[진단] 가짜뉴스 현상에 대한 두 가지 고찰 - 의도된 가짜와 매개된 가짜라는 관점을 중심으로
언론중재
2017 .03
예멘 사태의 지리·정치적 구도와 난민문제의 거버넌스
국제지역연구
2019 .07
난민 문제에 대한 국제법적 검토 - 제주도 입국 예멘인의 난민신청을 중심으로 -
계간 외교
2019 .01
Mapping the Process of Yemeni Crisis and Implication of Refugees Issue
한국중동학회논총
2020 .01
난민의 테러 위험성과 경찰의 대응방안:제주도 예멘 난민을 중심으로
한국민간경비학회보
2019 .01
난민과 이동통치: 예멘 출신 난민 신청자들의 제주에서의 경험 연구
공간과 사회
2022 .12
한국 난민정책의 한계와 대안 - 제주 예멘 난민 사례를 중심으로 -
Crisisonomy
2019 .01
난민, 함께 살아가야 할 존재
충북 Issue & Trend
2022 .06
한국의 난민 교육법제 현황 및 향후 과제 - 인구감소시대의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
법학논총
2023 .10
예멘 내전의 배경, 함의 및 전망
주요국제문제분석
2018 .09
국제 난민 규범의 내재화 분석 : 2018년 예멘 난민에 대한 법무부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이민학
2024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