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효원사학회 역사와 세계 역사와 세계 제53집
발행연도
2018.6
수록면
277 - 318 (42page)
DOI
10.17857/hw.2018.06.53.277

이용수

DBpia Top 5%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최근 2년간 이용수 순으로 정렬했을 때
해당 논문이 위치하는 상위 비율을 의미합니다.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클라우제비츠의 전쟁이론을 그의 이론관과 역사관, 특히 그가 지닌 역사주의와 관련지어 봄으로써 그것의 역사적인 의미를 조명하려 한다. 클라우제비츠가 『전쟁론』을 비롯한 저술에 제시한 이론은 19세기 초엽 프로이센에 만연해있던 사상의 영향을 깊게 받고 있다. 특히 그가 이론과 저술을 통해 추구했던 목표는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불가분하다. 클라우제비츠의 이론은 독자들이 미래의 전쟁에 대비할 능력을 길러주기 위해 만들어졌다. 하지만 그는 미래에 사용할 행동 규칙이 아니라 충분한 연구를 통해 조명한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이러한 목표에 도달하고자 한다. 그는 현실상의 복잡한 문제에 대해서는 오로지 인간의 직감만이 유효한 해결책을 제시해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나아가 그는 이러한 직감이 경험을 통해서만 발달할 수 있다고 보았지만 역사 속의 사례로 경험을 갈음하는 것도 가능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그의 전쟁이론은 미래에 대비하기 위해서 과거인 역사를 연구한다는 모순된 성격을 나타낸다. 현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고안된 클라우제비츠의 전쟁이론은 프랑스 혁명을 전후해 전쟁이 겪은 변화와 그 결과 전쟁이 나타낸 상이한 양상이라는 문제에 봉착했다. 클라우제비츠는 ‘절대전쟁’과 ‘제한전쟁’이라는 이원성을 고안함으로써 전쟁의 다양한 양상을 정리했으며 이러한 문제에 대응하고자 했다. 이를 통해 그는 각 전쟁의 개별성을 포괄함과 동시에 각 전쟁의 보편성을 탐색할 수 있는 이론을 형성한다는 모순된 목표를 추구했다. 이 과정에서 그는 역사주의적 태도를 지니게 되었으며, 이는 그가 이 두 전쟁 사이의 우열을 가리는 것을 거부하면서 이것들이 각각의 조건에 따라 자연스럽게 만들어진다고 보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클라우제비츠는 각 전쟁의 개별적이고 다양한 면모를 만들어내는 보편적인 요소를 식별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연구를 종합하여 폭력, 우연, 정치에의 종속성이라는 전쟁의 세 가지 성격을 제시했다. 이것들은 전쟁을 둘러싼 사회의 영역들인 인민, 군대, 정부에 연결됨으로써 각 시대의 전쟁을 각 시대의 사회와 연결하는 도구로 사용된다. 이를 통해 각 시대의 독특성을 강조했던 클라우제비츠의 역사주의적인 역사관과 다시 한 번 연결된 전쟁은 당시 태동하고 있던 근대 역사학의 연구 대상이 되었다. 클라우제비츠는 최초의 근대적 전쟁 사학자로 볼 수 있으며 그의 저술과 이론 역시 역사저술과 역사이론으로 볼 수 있다. 그는 오로지 과거만을 대상으로 하는 역사 연구를 진행했고 이후 독일에 등장했던 전문 역사가들과 같은 방식으로 과거를 조망했다. 이러한 면모는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했으나 전쟁의 이중성과 삼중성이라는 그의 성과를 해석하는 데에 대단히 중요하다. 그러므로 이 글은 역사가로서의 클라우제비츠에 주목하며 그의 저술과 이론을 재조명하고자 한다.

목차

국문초록
머리말
Ⅰ. 클라우제비츠 전쟁론의 방법론
Ⅱ. 절대전쟁과 제한전쟁
Ⅲ. 전쟁을 변화시키는 세 가지 성격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4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