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들어가며
Ⅱ. 北魏 墓誌를 읽는 법
Ⅲ. 北魏 墓誌 활용법 : 출토자료에서 역사사료로
Ⅳ. 나오며 : 北魏 墓誌를 위한 변명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어 상호주관성의 분포와 실현양상
중국조선어문
2022 .09
洛遷 이전 墓誌를 통해 본 北魏 墓誌의 展開-<馮熙墓誌> 前史-
중국사연구
2017 .01
北魏時期 墓誌의 定型化와 流行
동양사학연구
2018 .03
「王遺女墓誌」의 解題와北魏 女官에 대한 添言
중국사연구
2018 .01
墓誌銘을 통해 본 北魏 여성에 대한 단상 : 자유와 굴레의 양면성
중국고중세사연구
2016 .11
间接否定言语行为特征探析:基于语言博弈思想
중국언어연구
2022 .02
운강석굴을 통해 본 초기 북위석굴조영의 사회적 배경
불교학보
2015 .04
三韓의 貴種, 靺鞨人 李多祚의 출신에 대하여 -「李多祚墓誌」의 분석을 중심으로-
목간과문자
2024 .06
북위 낙양시기 석각예술과 고구려 고분벽화와의 연관성
사학연구
2017 .09
新羅 智證王代 北魏에 사신 파견과 목적
서강인문논총
2016 .08
5∼6世紀 北魏와 柔然- 征伐과 和親 記事 속에 投影된 衝突과 懷柔의 交叉
중국사연구
2022 .06
北魏 行臺의 運用과 그 의미
동양사학연구
2024 .06
中國 古中世 石刻資料 解題 및 譯註Ⅰ
중국사연구
2015 .01
魏晋南北朝都城的形制结构
중국고중세사연구
2015 .02
명사 보는 눈을 키우라
번역하다
2022 .11
중국 북량탑과 북위 조상비에 나타난 중국불교 전개와 전통신앙과의 융합
불교학보
2016 .03
안성천유역 원삼국∼한성백제기 마한 세력의 동향
고고학
2021 .12
고전소설에 대한 현대적 독법의 한 사례
어문론총
2019 .01
평양 진파리 4호분의 墨書와 刻書
목간과문자
2024 .12
高句麗와 北朝의 冊封朝貢關係 - 領護東夷中郞將·領護東夷校尉의 授受와 그 의미 -
동양학
2015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