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벼리
1. 연구의 배경
2. 선행 연구 검토
3. 연구 가설
4. 연구 방법
5. 연구 결과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비한자문화권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육 방안 연구 - TOPIK 초급 한자어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2019 .01
중국인 초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 교육방안 연구 : 충북대학교 교재 『매일 만나는 한국어 1』의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학 연구
2015 .04
漢字語 文法의 變化 樣相
어문연구(語文硏究)
2018 .01
단어 형성 교육을 위한 한자어 문제 고찰
국어교육연구
2021 .02
한자어 어원의 국어사전 처리 방안 연구
한국어학
2019 .08
대학 글쓰기 강좌 속 한자어 교육 - 서울시립대 교재를 바탕으로 -
돈암어문학
2020 .06
중국 유입 한자어의 분류와 독음 표기
중국학
2019 .01
한국에서의 한자병용에 대한 단상(斷想)
중국학
2019 .01
국어 차용어의 분류에 대한 소고: 한자어의 지위를 중심으로
언어와 정보사회
2018 .01
교육용 기초 한자에 대한 검토와 제안
중국어문학지
2020 .01
韓國語 標準化와 新語 形成 過程에서 漢字語의 位相과 機能 –國語辭典과 新語에서의 漢字語 比重을 중심으로–
어문연구(語文硏究)
2022 .03
『訓蒙字會』의 訓에 실린 한자음 고찰
대동문화연구
2019 .01
高等學校 文法 敎科書 單語 形成法 部門의 漢字語 資料에 대한 檢討
어문연구(語文硏究)
2018 .01
한자어 ‘악(惡)’의 의미와 사용 분석
어문론집
2018 .06
中世 및 古代國語 漢字音 硏究의 成果와 課題
우리말연구
2017 .01
한자어 의미 변화 양상 일고 : 동형이의 중국어와의 대조를 중심으로
돈암어문학
2017 .06
한국어 어휘 교육에서 한자어 조어 지식의 활용과 한자 교육의 문제
언어사실과 관점
2023 .02
教育用基础汉字析议
한국중어중문학 우수논문집
2021 .11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자어의 학습전략 연구- 결정전략과 기억전략을 중심으로 -
한중언어문화연구
2018 .01
조어력에 따른 한국어교육용 한자 및 한자어 선정
우리말글
2019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