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저널정보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대동문화연구 대동문화연구 제105호
발행연도
2019.1
수록면
195 - 228 (34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은 󰡔訓蒙字會󰡕(1527)의 訓에 실린 한자어와 한자어를 구성 요소로 포함하는 어휘에 반영되어 있는 한자음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叡山本」과 「東中本」을 텍스트로 삼아 훈에 제시된 한자음이 音部에 제시된 한자음과 다른 경우와 수록 한자가 없는 탓에 音部에서는 볼 수 없는 한자음이 훈에 보이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본 것이다. 그 결과 聲母와 관련해서는 전청 성모의 격음화와 관련한 양상, 日母(/ㅿ/)의 변화와 관련한 양상, 舌上音 聲母의 正齒音化와 관련한 양상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韻母와 관련해서는 한자음의 층위와 관련하여 의미 있게 살펴볼 수 있는 것이 적지 않음을 볼 수 있었는데, 通攝의 ‘纛둑’, 遇攝의 ‘礎츄’, 蟹攝의 ‘芥계’, 流攝의 ‘頭도’ 등과 같이 근대음적 층위를 반영한 것과 臻攝의 ‘根ᄀᆞᆫ’, 曾攝의 ‘賊’ 등과 같이 고음을 반영한 것으로 보이는 것이 있음을 볼 수 있었다. 이 외에 ‘구화’, ‘모과’ 등과 같은 다수의 근대 한어계 차용어가 들어와 쓰임을 통해 근대 한어와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는 것이 많다는 것 등을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양상을 보이는 󰡔훈몽자회󰡕 훈 속에 담긴 한자음은 실제 국어 언중들 사이에서 유통되고 있는 어휘 속의 한자음의 모습을 보여 주고, 국어 한자음의 층위와 관련한 모습을 잘 보존하고 있기도 하며, 국어 속에 들어와 있는 한어계 차용어의 모습을 잘 보여 주는 것이다. 그리고 어휘 속에서의 日母, 來母 등의 한자음의 음운 변화의 양상을 잘 보여 주며, 국어 한자음의 격음화 양상을 살피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또한 국어 한자음에서의 복수음자의 사용 실태를 살피고, 국어 한자음의 형성과 변화에 영향을 끼친 유추 등에 관하여 생각해 볼 자료들을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는 등 어느 하나로 성격을 단정짓기가 어려우므로 앞으로 관련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 나갈 필요가 있다.

목차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