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직관〈상〉의 배열과 개칭
Ⅲ. 시중의 서열과 관등규정
Ⅳ. 집사성의 역할과 위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내몽골 문화대혁명과 ‘呼三司’
중국근현대사연구
2020 .03
『료마가 간다(竜馬がゆく)』에 나타난 사카모토 료마(坂本竜馬)의 경제관념
인문학연구
2015 .01
秦代 ‘以吏爲師’와 ‘史’職의 위상
동양사학연구
2020 .09
고려시대 육류 소비 풍속과 그 實際
한국민속학
2022 .11
프랑스 선교사제의 서한을 통해 본 기해교옥과 조선대목구의 실상 - 모방 신부·샤스탕 신부·앵베르 주교의 서한을 중심으로
교회사학
2020 .01
광개토왕비문의 ‘安羅人戍兵’에 대한 재해석
동방학지
2017 .01
1905년 2월 이전 島根縣의 관할지 내 독도 제외와 그 의미―《島根縣統計書》를 중심으로―
독도연구
2017 .12
일본의 대외전쟁과 대본영의 운영실태 - 청일, 러일전쟁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연구
2019 .06
13~14세기 몽골제국 勅令制度 硏究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0 .08
申之悌의 詩에 나타난 交遊 양상 연구
민족문화
2020 .06
天聖令 營繕令의 사료적 가치와 역주
중국고중세사연구
2015 .05
‘한한령(限韓令)’을 통해 본 중국 대외문화정책의 딜레마
중국문화연구
2017 .08
고려시대 禁殺都監의 설치배경
역사학연구
2024 .05
『說文解字』의 고조선·낙랑 기록과 典據
선사와 고대
2017 .01
임진왜란 이전, 전쟁 대비를 위한 문학적 대응의 두 양상
동방한문학
2023 .06
4~6세기 加耶의 對百濟 · 新羅 관계
한국고대사연구
2019 .06
韓 · 日 葬禮文化 比較硏究 : 村田喜代子의 小說 『龍秘御天歌』를 中心으로
일본문화학보
2018 .02
청일전쟁기 일본군의 경인 병참선 구축
동양사학연구
2024 .09
대한의원 본관의 건축 과정과 건축 계획적 특성
의사학
2016 .04
‘牒’의 淵源과 變遷에 관한 연구
古文書硏究
2022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