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려시대 육류 소비 풍속과 그 實際
한국민속학
2022 .11
프랑스 선교사제의 서한을 통해 본 기해교옥과 조선대목구의 실상 - 모방 신부·샤스탕 신부·앵베르 주교의 서한을 중심으로
교회사학
2020 .01
秦代 ‘以吏爲師’와 ‘史’職의 위상
동양사학연구
2020 .09
1905년 2월 이전 島根縣의 관할지 내 독도 제외와 그 의미―《島根縣統計書》를 중심으로―
독도연구
2017 .12
일본의 대외전쟁과 대본영의 운영실태 - 청일, 러일전쟁을 중심으로 -
동양사학연구
2019 .06
13~14세기 몽골제국 勅令制度 硏究
동양사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020 .08
天聖令 營繕令의 사료적 가치와 역주
중국고중세사연구
2015 .05
‘한한령(限韓令)’을 통해 본 중국 대외문화정책의 딜레마
중국문화연구
2017 .08
고려시대 禁殺都監의 설치배경
역사학연구
2024 .05
韓國語 否定 標識 ‘-지 말-’에 대하여 - 禁止 標識로서의 設定可能性을 中心으로 -
어문연구(語文硏究)
2017 .01
新羅 執事省의 성격과 위상에 대한 再論
신라사학보
2017 .08
When Topic Meets ‘And’: Development of Conditional and Prohibitive Constructions in Korean
담화와인지
2018 .02
‘엔터테인먼트 선언’에 나타나는 방향성의 부조화 – 이쓰키 히로유키(五木寛之)『계엄령의 밤(戒厳令の夜)』을 중심으로 –
일본연구
2019 .01
신라 동궁 출토 14면체 酒令 주사위의 명문 해석과 그 의미
동서인문학
2018 .02
淸朝의 北京遷都와 盛京地域
동국사학
2020 .01
신라 상대의 王命과 “國法”의 성립 과정
역사와 담론
2018 .01
행정입법에 대한 의회통제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020 .12
전후 일본 보수인맥의 태동 : ‘역코스’기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17 .09
일제침략기 사진그림엽서를 통해서 본 기생기억
일본문화연구
2018 .07
作冊?令? 銘文 ‘乍冊?令?尊宜于王姜’에 관한 小考
중국언어연구
2020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