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머리말
1. 『삼국사기』 『삼국유사』 사료 검토
2. 박씨 왕족 내 계보 상 혼란 인물 고찰
3. 박씨 왕족 계보의 재구성과 왕위계승의 성격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신라 마립간시기 왕위계승원리와 왕권의 성격
한국고대사연구
2022 .03
신라 상고기 왕위계승연구의 세대 연구방법론 모색을 위한 시론—나물왕의 왕위계승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
2024 .02
신라 中古期의 왕위계승과 ‘攝政’
대구사학
2017 .01
新羅 眞骨의 ‘家系 分枝化’에 대한 재검토-사위의 왕위계승권을 중심으로-
대구사학
2017 .01
신라의 왕위계승 원리에 대한 이론적 탐색 : 선석열, 『신라 왕위계승 원리 연구』(혜안, 2015)
한국고대사연구
2016 .12
고려 초 종묘 운영의 재래적 토대 -신라 말 宗廟制와 관련하여-
신라사학보
2021 .04
신라 상고기 ‘태자’의 성격과 등장 배경
사림
2024 .04
明 正德帝의 후계자 문제와 寧王
역사와경계
2023 .04
고려전기 왕위계승 인식과 그 성격
사림
2021 .01
요한계시록의 하나님 : “이제도 계시고 전에도 계시고 장차 오실 이,” “보좌 위에 앉으신 이” 두 칭호의 상호 관계성
신약논단
2016 .06
“ ” - 다윗 왕위 계승 순위의 뒤틀림
구약논단
2016 .06
신라 하대 초기 인겸계의 왕위계승과 분열
대구사학
2024 .02
正祖 연간과 『日省錄』을 향한 ‘下而上’의 역사 탐구
민족문화
2016 .06
신라 경순왕의 즉위를 통해 본 신라 하대의 왕위 계승 원리 : 혈연적 요인을 중심으로
서강인문논총
2019 .04
신라 진지왕 폐위에 관한 재검토
온지논총
2018 .01
唐 후기 皇位 繼承의 樣相과 宣宗의 즉위 -長子 명분을 중심으로
중국사연구
2019 .01
신라 신왕의 장생불사론- 신기(神器), 수(壽), 그리고 왕위계승법칙
仙道文化
2018 .08
한국고유사상과 유교(儒敎)의 습합(習合) Ⲻ 『삼국유사』와 『삼국사기』를 중심으로 Ⲻ
한국철학논집
2020 .01
신라 하대 효공왕의 왕위 계승과 최치원
신라사학보
2021 .0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