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한글요약]
Ⅰ. 들어가면서 : 무의식과 주체철학
Ⅱ. 철학에서 정신이란 무엇인가?
Ⅲ. 정신은 의식이 아닐 수 있다
Ⅳ. 프로이트와 융의 무의식
Ⅴ. 나가면서 : 융 이론의 철학적 가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칼 융의 무의식 개념과 정신에서의 자기인식의 의미
동서철학연구
2020 .01
지속과 무의식 : ‘생동하는 무의식’은 우리의 존재에 대해 무엇을 말해주는가?
철학사상
2016 .11
‘자기 자신의 타자’와 『정신현상학』 서술방식의 한 특징
헤겔연구
2018 .01
리오타르의 무의식과 형상
현대유럽철학연구
2018 .01
칸트의 ‘나’와 프로이트의 ‘에고’에 대한 비교 고찰
칸트연구
2021 .12
정신, 신체, 기계 (Mind, Body, Machine)
철학과 현실
2020 .03
헤겔의 철학적 심리학과 무의식의 존재론
철학연구
2024 .06
문학에 대한 불만 - 프로이트의 정신분석의 시학
독어독문학(구 독일문학)
2016 .06
미셸 앙리의 현상학을 통해 본 데카르트의 코기토와 프로이트의 무의식
현상학과 현대철학
2021 .03
月巖李匡呂의 心論
양명학
2017 .04
헤겔 1830년 『철학대계』에서 주관정신 철학 - 수동적 지성(passive νοῦς)의 정신적 자기-생성과 신체화 -
철학논총
2021 .01
필연성과 우연성이 교차하는 세계 - 칸트의 의식철학을 중심으로 -
철학논총
2024 .07
자기 성찰을 위한 설화교육의 가능성 탐색: 분석심리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독서연구
2017 .01
헤겔 『정신현상학』에서의 경험적 의식의 척도-서론(Einleitung)의 의식 구조를 중심으로-
철학∙사상∙문화
2018 .01
우리에게 여전히 프로이트와 융이 필요한 이유 : 『정신분석학 입문 강의』,『 무의식 과정의 심리학』출간 100주년을 기념하며
지식의 지평
2017 .05
융의 “집단무의식” 이론 중 “원형”의 문제
인문과 예술
2015 .12
칼 융의 분석심리학과 쉘링 철학의 관계에 대하여
동서철학연구
2017 .01
마음이란 무엇인가?
한국불교학
2021 .11
호킨스의 의식이론과 목회상담
목회와 상담
2016 .01
데카르트의 의식 고차 이론
철학탐구
2015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