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머리말
Ⅱ. 역사 기록상의 蓮臺寺와 淸凉寺
Ⅲ. 乾漆藥師如來坐像 腹藏內 陀羅尼와 文獻
Ⅳ. 文殊菩薩像 腹藏內 陀羅尼와 文獻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시대 출토복식에 보이는 불교의 영향
한복문화
2018 .06
통일신라~고려 전기 탑내 봉안 불상의 성립과 배경 : 조탑공덕경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미술사연구
2016 .06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의 특징과 제작시기 검토
미술사연구
2017 .06
한국 불교미술에 수용된 범자의 특징 고찰(2) - 조선시대 범종을 중심으로 -
동악미술사학
2023 .06
선성군(宣城君) 이흠(李欽, 1522∼1562) 묘 출토복식
한복문화
2017 .12
고려 煌丕昌天銘鏡의 도상과 불교적 해석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5 .06
부적을 만나다: 조선불교에서의 안산(安産)부적
미술사와 문화유산
2022 .02
고려시대 불복장의 특징과 형성배경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5 .06
고려시대 佛像의 腹藏 阿字圓相隨求陀羅尼 연구
불교미술사학
2022 .10
감지금자 『百千印陁羅尼經四經合部』 사경을 통해 본 고려시대 왕실발원 사경 - 충렬왕대의 국왕발원사경을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
2019 .01
서산 일락사 미타전 불상 연구
불교미술사학
2019 .01
중국 隋唐代 석탑의 특징과 新羅 석탑과의 비교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6 .12
영제 바라무 동작과 범패 선율의 관련성
국악원논문집
2015 .06
7~8세기 신라 및 일본 佛塔의 銅鏡 매납과 의미
미술문화연구
2024 .12
포스트휴먼 시대의 체화된 인지 체계로서 미디어: 미디어 생태학과 체화된 인지 관점에서
PREVIEW : 디지털영상학술지
2024 .08
경주 황룡사 금동찰주본기의 각자(刻字) 방법 연구
미술사학
2022 .08
통일신라 금속공예의 성취와 국제교류 : 국보 제174호 <금동 수정장식 촛대>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6 .09
티베트 흑도자기 연구
한국도자학연구
2019 .01
통일신라 왕릉의 석인상(石人像) 복식 연구(Ⅰ) : 양당개(裲襠鎧) 착용 석인상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2017 .03
통일신라 왕릉의 석인상(石人像) 복식 연구(Ⅱ) : 단령포(團領袍) 착용 석인상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2018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