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Ⅰ. 머리말
Ⅱ. 복장물 관련 문헌 기록
Ⅲ. 고려시대 복장물목의 내용과 특징
Ⅳ. 경전에 의거한 복장물목의 구성과 요소
Ⅴ. 복장물의 형성과 의미
Ⅵ. 맺음말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조선 후기 佛畫 腹藏囊의 현황과 의미
한국복식
2017 .01
17세기 이후 불상의 복장(腹藏) 의례: 법계(法界)의 구현
미술사와 시각문화
2016 .01
조선 초기 해인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 복장 후령통 연구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22 .12
정은우 · 신은제 공저, 『고려의 성물, 불복장』 (서울: 경인문화사, 2017)
미술사연구
2020 .12
봉화 청량사 건칠약사여래좌상의 특징과 제작시기 검토
미술사연구
2017 .06
조선 후기 조각승 端應의 造像 活動과 性格에 관한 고찰
동악미술사학
2022 .12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과 복장유물의 내력과 특징
미술사연구
2015 .12
불복장 의복 봉안의 의미 : 상원사 문수동자상의 저고리와 전설을 중심으로
미술사학
2017 .08
복장전환과 동성애 - 영국 르네상스시대 연극무대와 일본 에도시대 가부키를 중심으로
한국연극학
2018 .01
납탑, 불복장 규범의 새로운 예 - 印佛과 印塔
동악미술사학
2022 .06
고려시대 佛像의 腹藏 阿字圓相隨求陀羅尼 연구
불교미술사학
2022 .10
송광사 감로암 봉안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 조사
동악미술사학
2020 .01
조선시대 출토복식에 보이는 불교의 영향
한복문화
2018 .06
高麗時代 佛腹藏의 形成과 意味
미술사학연구(구 고고미술)
2015 .03
조선 전기 腹藏의 특징
불교미술사학
2024 .03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복장 발원문과 발원자들
미술사연구
2015 .12
비치태권도를 통한 태권도 사회현상 해석
무예연구
2018 .05
중국 묘족의 축제/명절에 입는 은장식 전통복장 고찰과 중국 젊은 여성의 감성 분석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2018 .09
북한지역 고려 후기 금동불 연구 : 중대형 금동불을 중심으로
미술사연구
2018 .12
새로운 시대 앞에 서다
현안보고(이슈페이퍼)
2016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