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들어가기
2. 여성해방의 기호로 정착된 입센의 ‘노라’
3. 생존의 길을 모색하는 식민지 조선의 ‘노라’
4. 『인형의 집을 나와서』에서 ‘노라’ 변용의 의미
〈참고문헌〉
영문초록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입센의 극작술과 『인형의 집 Et Dukkehjem』의 현대적 의미
외국문학연구
2015 .11
입센극 『인형의 집』 수용과 ‘노라’를 바라보는 남성 인텔리의 시선에 관한 소론 : 젠더정치학적인 관점에서 노라를 소환하는 담론을 중심으로
동서비교문학저널
2018 .12
소설로 쓴 ‘노라이즘’ – 나혜석 「경희」, 「현숙」, 「어머니와 딸」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022 .08
현실판 노라 길들이기 : 희곡 『사랑의 각성』과 「종신대사」의 비교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
2017 .02
‘인형’과 ‘인간’ 또는 인형에 대한 인간의 이중구속 : 입센 『인형의 집』, 클라이스트 「인형극에 관해」 그리고 신디 셔먼의 경우로
인문학연구
2023 .06
A Doll’s House, Part 2에 나타난 가부장제 속 저항과 공명
현대영미드라마
2019 .12
식민지의 노라는 해방 후 어떻게 되었는가 - 탈식민 노라붐과 이무영의 『3년』
민족문학사연구
2018 .01
신문소설 삽화를 통한 감상자의 심리적 거리 형성 연구 - 『인형의 집을 나와서』(1933)를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2023 .06
여성의 시각으로 재현한 식민지 조선 사회의 시공간성: 채만식의 『인형의 집을 나와서』, 『탁류』를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2016 .01
번역된 여성, 노라와 시스(西施)의 해방
민족문학사연구
2018 .01
번역과 이데올로기 ― 중국의 신문화운동과 후스의 『인형의 집』번역 실천
중국어문학논집
2020 .12
입센의『인형의 집』과 영문학 수업 교안: 다시 쓰기, 패러디, 시퀄을 통해 돌아보는 빅토리아 젠더 담론의 양가성
영미문학교육
2021 .12
여성 구체관절인형 생산실태 분석
복식문화연구
2021 .12
Female Identity Crises and Resolutions in Henrik Ibsen’s A Doll’s House and The Lady from the Sea
동서비교문학저널
2023 .03
노래와 ‘-노라체’ : 조선어 구어의 파롤적 실현과 시가양식의 종결체에 대하여
한국시학연구
2017 .11
이상(李箱) 문학에서의 여성-동물과 여성-인형의 ‘몸’들
구보학보
2021 .08
진흙 인형과 나무 인형
숙명문학
2019 .11
개인의 자유와 사회적 규범: 루카스 네이스의 『인형의 집, 파트 2』와 입센 다시 읽기
영미어문학
2019 .01
『골짜기의 그림자』에 나타난 낭만적 삶
현대영어영문학
2016 .01
전근대적 성 역할의 고정관념 뛰어넘기: 『그들의 눈은 신을 주시하고 있었다』의 제니 크로포드와 『인형의 집』의 노라 헬머의 비교
영미문화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