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수리조합의 제도적 배경과 그 식민지적 이식
3. 식민지적 수리체계의 형성과정
4. 수리조합의 사회경제적 결과
5. 결론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30년대 중후반 일제의 수리조합 정책을 통한 농촌통제 강화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7 .11
일제하 萬頃江 유역 水利組合 연구
동방학지
2005 .01
1920ㆍ30년대 水利組合事業에 대한 저항과 주도계층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03 .08
한국 근현대 낙동강 유역의 수리조합 연구 - 경상북도 칠곡군의 수리조합을 중심으로 -
대구사학
2013 .01
일제시기 경상북도 경주군 서면수리조합과 일본인 농업경영
대구사학
2006 .01
1920ㆍ30년대 수리조합 설치반대운동 추세와 그 원인
사학연구
2002 .09
한국 근현대 경상북도 칠곡군의 수리조합 연구-운영 주체를 중심으로-
대구사학
2014 .01
일제강점기 임천수리조합 설립과 토지소유권 변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5 .08
일제시기 영일수리조합의 설립과 운영
역사와경계
2017 .03
[논문] 일제시기 식민지지주제의 기본 추이 -충남 서천 수리조합지구의 사례-
역사와현실
1997 .12
일제시기 경상북도 달성군의 수성수리조합과 지역사회 변동
역사와경계
2020 .09
서면수리조합 설립에 대한 반대운동
계명사학
2005 .11
일제 시대의 여성과 정치 - 일제 시기 여성의 시민화 과정의 분석 -
사학연구
2005 .03
일제시기 경상북도 경주군 안강수리조합 연구-일본인 농업경영을 중심으로-
대구사학
2016 .01
日帝下 水利組合의 設立과 運營
한국사연구
1985 .12
일제하 농민의 농업생산형태에 관한 연구 : 전북지역 한 촌락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1999 .02
日帝下 정치ㆍ사회세력과 그 운동 : 1920년대를 중심으로
역사교육
1988 .06
실패한 식민지 ‘개발’ 프로젝트 : 益山 黃登堤의 廢堤化 사례
한국사학보
2015 .05
『朝鮮地誌資料』에 나타난 경기도 수리시설의 현황과 특징 : 洑와 堤堰의 사례를 중심으로
역사와실학
2009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