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머리말
2. 湖南에서 黃登堤의 위치 : 臨益水組의 前史
3. 黃登堤의 復舊 : 1909년 臨益水組의 창설과정
4. 益山 黃登堤의 廢堤化 : 庚川貯水池의 新築
5. 결론 및 과제
참고문헌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고지형분석을 활용한 황등제 수리시설 운용 연구
호남고고학보
2023 .02
1930년대 중후반 일제의 수리조합 정책을 통한 농촌통제 강화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7 .11
일제하 나주지역의 수리조합 설치와 군민의 대응
역사학연구
2024 .02
청동기시대 수리시설물의 구조와 변천
야외고고학
2015 .07
湖南 지역사회 속의 東津水利組合 ― 장기사적 관점에서의 연구서설
대동문화연구
2016 .01
地形과 水文學的分析을 통해 본 古代水利施設의 農業生産力연구
한국상고사학보
2015 .01
湖南 東津水利組合 사업의 전개과정 -지역 농민의 존재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2020 .05
우리나라 先史∼古代水利施設의괮型과 發達過程
한국상고사학보
2015 .01
완주 경천저수지 축조와 수몰민의 유리(流離) ― 구술을 중심으로 ―
건지인문학
2019 .01
수리(水利) 문화유산과 전통지식
무형유산
2023 .06
당진 합덕제의 운영과 농경유산으로서의 가치와 의미
남도민속연구
2019 .01
일제시기 영일수리조합의 설립과 운영
역사와경계
2017 .03
1930년대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수리(水利)’ 노동 재현과 그 정치적 함의 : 한설야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연구
2022 .12
일제시기 경상북도 달성군의 수성수리조합과 지역사회 변동
역사와경계
2020 .09
1920년대 충남 서천지역의 농민운동
역사와 담론
2021 .10
저수지 외 1편
시조시학
2020 .06
저수지
계간 미스터리
2024 .06
자연재해[水害]와 식민지 개발 프로젝트― 臨津江하류 兩岸[坡州ㆍ長湍]의 ‘不良水利組合’ 사례
대동문화연구
2024 .09
일제강점기 임천수리조합 설립과 토지소유권 변동
한국독립운동사연구
2015 .08
전통수리시설의 특징과 문화유산으로서의 가치-농업유산 선정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무형유산
2022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