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서론
2. 웰즈의 근대유토피아론과 과학소설 번역의 배경
3. 웰즈의 과학소설과 클라르테’(Clart) 그룹
4. 클라르테 운동과 조선 사회주의 문인들의 논평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 사회 속에서 기독교사회주의의 필요성에 관한 고찰
피어선 신학 논단
2023 .08
총론 : 식민지 조선의 사회주의‘들’
역사와현실
2020 .12
칼 바르트 초기신학 속 하나님 나라와 사회주의 담론의 변화에 대한 연구
한국개혁신학
2016 .05
조소앙과 『적자보』연구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2020 .01
일제강점기 光山金氏 청년지식인의 시대인식과 민족운동 : 雨田 金南洙의 사회운동과 민족문제해결방법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16 .12
현실사회주의와 민주주의
현대사상
2023 .09
김형준의 ‘동학사회주의’와 ‘네오휴머니즘’
민족문화연구
2022 .02
최인훈 소설에 나타난 마르크스주의와 사회주의 인식 양상 - 「광장」, 『회색인』, 『화두』를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연구
2016 .02
The Ecocritical Interpretations of H. G. Wells’ Works in the Posthuman Era : Defining Humans in the Post-Darwinian Evolution
문학과환경
2019 .03
해방 직후 사회주의자들의 3.1운동 인식
[TCHCCOS] 서울과 역사
2018 .06
사회주의가 북한 어민의 풍습과 노동관행에 미친 영향
사학연구
2015 .06
존 스튜어트 밀과 사회주의의 관계에 대한 고찰
동서철학연구
2024 .09
조선적 환멸과 환상 해체의 방법론- 박영희 초기 문학 담론에 나타난 자기 구성의 문제 -
어문론총
2015 .09
민족과 혁명: 1920년대 초 사회주의 수용에서 러시아혁명 인식의 문제
민족문학사연구
2021 .12
1920-1960년대 한국 문단의 사회주의 전유 양상 - 이광수와 이범선의 작품을 중심으로 -
한국문학과 예술
2023 .06
1920년대 미래과학소설의 사회구조의 전환과 미래에 대한 기대 - 『팔십만년후의 사회』, 『이상의 신사회』, 『이상촌』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20 .04
로자 룩셈부르크의 민주적 사회주의/사회주의적 민주주의 -러시아 혁명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현대사상
2019 .12
조지 오웰의 사회주의 : 토리 무정부주의와 민주적 사회주의
역사와경계
2016 .09
1950~60년대 북한 문예미디어 지형과 사회주의 문화정치
대동문화연구
2019 .01
1920년대 전반 조선물산장려운동 주도세력의 사회운동론과 서구 사회주의 사상과의 비교 - ‘국내상해파’와 조선청년회연합회를 중심으로 -
동방학지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