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요약
I. 서론
II. 레닌묘의 상징성과 시신의 신화적 해석
III. 현대 러시아인이 바라본 레닌묘 : 무엇이, 왜 기억되고 있는가?
I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레닌묘를 읽는 두 가지 해석: 축소된 우주론, 풍수의 정치학
슬라브硏究
2017 .01
문화와 주체 : 레닌과 보그다노프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2015 .09
중앙아시아 고려인 극평 고찰 : 신문 《레닌기치》를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17 .12
1920년대 박영희의 일본 프로문학론 수용과 자기 맥락화 : 참조와 인용의 방법을 중심으로
어문학
2017 .03
[레닌 사망 100주년] 레닌 사망 100주년에 부쳐: 반제국주의자 레닌
지식의 지평
2024 .11
레닌의 혁명 사상과 민족자결주의: 제1차 세계대전 시기를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2020 .01
唐 前期 皇陵制度의 性格
중국사연구
2015 .01
『레닌기치』에 반영된 고려인 사회 - 1950~1960년대를 중심으로 -
한국문예비평연구
2017 .01
문화와 혁명, 또는 마음의 정치학: 보그다노프와 프롤레타리아 문화의 (불)가능성 논쟁
슬라브硏究
2017 .01
잡지 『신생활』의 문화 정치와 러시아혁명사
민족문화연구
2023 .02
장선푸(張申府)의 공자 · 러셀 · 레닌의 삼류합일(三流合一)사상의 형성배경
코기토
2017 .02
홍범도의 중앙아시아에서의 생활
사림
2017 .01
현대사의 기점으로서의 러시아 혁명
역사와현실
2020 .03
구소련권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의 형성과 전개양상: 『선봉』/『레닌기치』/『고려일보』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
2020 .10
『레닌기치』를 통해 본 스탈린시기 카자흐스탄 고려극장
사림
2015 .01
<레닌기치>를 통해 본 중앙아시아 고려인들의 독립운동 인식 - 3.1운동과 8.15해방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중심으로 -
인문과학
2016 .01
러시아정교회의 분열과 한국 러시아정교회
史叢(사총)
2017 .01
낙양 동주왕릉의 연구 현황과 과제 - 피장자 비정과 무덤 배치를 중심으로
동북아역사논총
2024 .09
모스크바 극동피압박민족회의 참가기를 통해 본 혁명의 기억 : 김단야, 여운형의 기록을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연구
2017 .10
리정희 소설 연구 : 《레닌기치》 수록 작품을 중심으로
동아인문학
2019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