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문화와 주체 : 레닌과 보그다노프의 비교를 중심으로
노어노문학
2015 .09
혁명, 혹은 배반의 유토피아 — 보그다노프의 『붉은 별』에 나타난 정치적 무의식
인문논총
2017 .01
보그다노프와 사회시스템의 문제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5 .01
보그다노프의 『붉은 별』에 나타난 사랑의 문제
노어노문학
2020 .03
잡지 『신생활』의 문화 정치와 러시아혁명사
민족문화연구
2023 .02
현대사의 기점으로서의 러시아 혁명
역사와현실
2020 .03
플라토노프와 혁명: 프롤레타리아 작가의 낯선 목소리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6 .01
레닌의 혁명 사상과 민족자결주의: 제1차 세계대전 시기를 중심으로
역사학연구
2020 .01
레닌묘를 읽는 두 가지 해석: 축소된 우주론, 풍수의 정치학
슬라브硏究
2017 .01
러시아 혁명과 중국공산당의 자기개조의 길 :反볼셰비키화를 넘어서
한중관계연구
2018 .01
레닌묘의 상징성과 기억의 정치학
노어노문학
2017 .03
민족과 혁명: 1920년대 초 사회주의 수용에서 러시아혁명 인식의 문제
민족문학사연구
2021 .12
문화혁명과 일상: 루나차르스키의 문화이념과 활동
노어노문학
2024 .09
2010년 이후 영미 학계의 유럽, 아시아, 아메리카의 프롤레타리아 문학 연구 경향-한국 프롤레타리아 문학 연구 경향과의 비교
구보학보
2021 .01
한국 프로문학의 형성과 클라르테 운동의 수용 : 바르뷔스적인 것과 김기진의 초기 프로문학론
국어국문학
2015 .09
1910년대의 ‘혁명’ ㅡ 3·1운동 전야의 개념과 용법을 중심으로 ㅡ
개념과 소통
2015 .01
현대 러시아의 대중의식을 통해 살펴본 ‘10월 혁명’ : 소연방 해체 이후 현재까지 여론 조사를 중심으로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2018 .01
역대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에서 ‘혁명’ 서사의 변화
인문논총
2018 .01
국가의 탄생과 혁명의 적들: 사회주의 리얼리즘 범죄 스릴러
슬라브硏究
2017 .01
문화대혁명, 진보인가 반동인가? - 베이징 초기 홍위병 운동의 쟁점에 대한 재검토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
2022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