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우리나라 노동법의 권리실현방법
Ⅲ. 미국 노동법의 권리실현방법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대법원 1991. 7. 12. 선고 90다카17009 판결
서울특별시 지하철공사의 1988.6.17.자 단체협약이 일반직을 제외한 기능직과 고용직에 한하여 월 금 33,000원씩 임금을 인상하기로 한 것이어서 일반직을 그 지급대상에서 제외하고 있는 부분은 근로기준법 제5조의 균등처우규정에 위반하여 무효이므로 일반직도 그 적용을 받는다고 본 원심판결에 채증법칙에 위반하여 사실을
자세히 보기대법원 1997. 7. 8. 선고 96다56269 판결
학력간의 임금 불균형으로 인한 직원들의 불만을 해소하기 위하여 국민체육진흥공단에 의하여 개정된 학력인정조항이 "……가산할 수 있다"고 규정되어 있을 뿐이고, 한편 특별채용된 직원들에 대하여 위 조항에 따라 일률적으로 학력호봉을 가산해 준 것은 공단이 당초 서울올림픽 행사를 위하여 설립된 각종 올림픽 관련기관들의 직원들을 특별채용하여 직원
자세히 보기대법원 2003. 3. 14. 선고 2002도3883 판결
[1] 구 남녀고용평등법(2001. 8. 14. 법률 제6508호로 전문 개정되기 전의 것) 제6조의2 제1항 소정의 `동일가치의 노동`이라 함은 당해 사업장 내의 서로 비교되는 남녀 간의 노동이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거의 같은 성질의 노동 또는 그 직무가 다소 다르더라도 객관적인 직무평가 등에 의하여 본질적으로 동일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1. 1. 27. 선고 2009다19864 판결
[1] 헌법상의 기본권은 제1차적으로 개인의 자유로운 영역을 공권력의 침해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방어적 권리이지만 다른 한편으로 헌법의 기본적인 결단인 객관적인 가치질서를 구체화한 것으로서, 사법을 포함한 모든 법 영역에 그 영향을 미치는 것이므로 사인간의 사적인 법률관계도 헌법상의 기본권 규정에 적합하게 규율되어야 한다. 다만 기본권 규정은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3. 3. 14. 선고 2010다101011 판결
[1] 구 남녀고용평등법(2007. 12. 21. 법률 제8781호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로 개정되기 전의 것) 제8조 제1항은 “사업주는 동일한 사업 내의 동일가치의 노동에 대하여는 동일한 임금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는바, `동일가치의 노동’이란 당해 사업장 내의 서로 비교되는 남녀 간의 노동이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2. 10. 25. 선고 2011두7045 판결
[1]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항은 “사용자는 기간제 근로자임을 이유로 당해 사업 또는 사업장에서 동종 또는 유사한 업무에 종사하는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근로자에 비하여 차별적 처우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고 정하여, 기간제 근로자에 대하여 차별적 처우가 있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비교 대상 근로자로 `당해 사
자세히 보기대법원 2015. 10. 29. 선고 2013다1051 판결
[1] 근로기준법에서 말하는 차별적 처우란 본질적으로 같은 것을 다르게, 다른 것을 같게 취급하는 것을 말하며, 본질적으로 같지 않은 것을 다르게 취급하는 경우에는 차별 자체가 존재한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근로기준법에서 금지하는 차별적 처우에 해당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전제로서 차별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사람과 그가 비교대상자로 지목하는 사람이 본질적
자세히 보기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중국 행정소송법상 환경공익소송에 관한 연구
공법학연구
2023 .11
중국의 민사공익소송제도에 관한 연구
법학연구
2015 .01
초․중등학생 보호자의 권리 유형과 침해에 대한 민사적 구제
민주법학
2018 .01
AN ANALYSIS OF THE CIVIL LITIGATION RECONCILIATION SYSTEM IN CHINESE LAW
국제거래와 법
2019 .04
사회과에서 권리 교육의 내용 요소에 대한 연구-권리 주체 간 상호작용 모델을 중심으로-
법과인권교육연구
2022 .04
당사자소송과 그 평가
法學論文集
2019 .01
중국 연변지역 근로자들의 노동권리 실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창조와 혁신
2015 .01
민사소송제도의 목적, 소권, 소송물 그리고 일부청구에 관한 이론의 전개와 의미
연세법학
2023 .02
민사소송법 제1조 제1항의 의미 - ʻ공정(公正)ʼ한 민사소송절차의 진행에 관하여 -
법조
2021 .08
의무이행소송의 도입 필요성과 바람직한 도입방안
국가법연구
2019 .01
민사소송과 관련된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고찰
성균관법학
2021 .09
중국 환경민사공익소송 소송비용제도의 현황 및 개선방안
동북아법연구
2024 .09
노동법의 규범구조와 근로권과 노동3권의 관계
원광법학
2019 .01
북한 아동권리보장법에 투영된 북한 민법의 특징과 평가
법학논총
2021 .09
의무이행소송의 도입에 관한 재검토 - 독일 행정법원법상 의무이행소송을 參照하여 -
동아법학
2019 .05
Legislative Thinking on the Protection of Part-time Labor Rights and Interests of College Students in China
기업경영리뷰
2020 .01
중국 행정소송의 유형에 관한 고찰
공법학연구
2019 .05
행정소송법 개정의 필요성과 방향
행정판례연구
2022 .12
본인소송(나홀로소송)에 관한 연구
비교사법
2023 .11
아동, 부모, 교사, 국가(사회)의 권리관계 개념 도출을 위한 연구 동향 분석: 권리의 충돌과 균형을 중심으로
아동복지연구
2024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