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范永聰 (香港浸會大學)
저널정보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동아문화 東亞文化 第54輯
발행연도
2016.12
수록면
65 - 97 (33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屈原(約前340-約前278)其人, 於中國歷史上赫赫有名。 中國人民即使對其生平欠缺深入認識, 總曾聽聞其名作如《離騷》及《思美人》等, 如何訴說他強烈的忠君愛國情感;以及慘遭小人誣讒、懷才不遇, 有志不伸的愁緒。然而,屈原作為「愛國詩人」此一形象, 或許與其在世時的功業無大關係, 反而源於漢代(前202-220)一眾文人的「刻意營造」。此一形象為後代知識分子繼承, 加以傳揚, 遂致流傳至今。
與中國毗鄰的朝鮮半島, 自古便與中國有著深刻而頻繁的文化交流;屈原的一生事跡․ 著名作品, 以及其「人為而成」的「文化意象」, 於韓國古代知識分子間流傳, 並往往成為他們的心靈投射對象——「屈原意象」偶爾出現在韓國文人作品之中, 成為他們的文學表述工具。 若把這些文學作品視為一種「知識創造」, 那麼構成這種「知識」的最重要元素, 非「屈原意象」莫屬。
本文旨在以成書於朝鮮(1392-1910)成宗(李娎, 1457-1494;1470-1494在位)九年(明憲宗成化十四年, 公元1478年)的《東文選》為例, 淺析韓國古代文人作品中的「屈原意象」, 藉以察見作為一種來自中國的․ 「人為而成」的文化意涵, 「屈原意象」此一文學元素, 對韓國古代文學的發展有何重要啟示。

목차

1. 引論 - 所謂「屈原意象」
2. 漢代「屈原意象」之形成
3.「屈原意象」在朝鮮半島之傳承 - 兼談《東文選》所載李奎報之《屈原不宜死論》
4.《東文選》內所呈現之「屈原意象」- 若干作品淺析
5. 結語
中文摘要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7-001-002213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