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中國語要旨
1. 緒論
2. 李奎報對屈原之死的看法
3. 屈原對李奎報創作的影響
4. 結論
ABSTRACT
한국어 초록
参考文献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소재 노수신 유배 초기의 한시
유학연구
2022 .05
「离骚」 创作时间再辨析
국제언어문학
2019 .12
朝鮮時期時調對楚辭的受容?究 -以『?丘永言』?『海東歌謠』?『歌曲源流』 三大時調集?中心-
열상고전연구
2017 .08
李白 賦 初探
중어중문학
2017 .06
중국과 한국의 굴원론(屈原論) - 몇 가지 사례를 중심으로
비교한국학
2019 .01
西陂 柳僖 賦에 드러나는 내면세계 고찰
한국한문학연구
2015 .09
이인로와 이규보의 소식 시문 수용양태 연구 - 『보한집』을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2021 .10
『을병조천록(乙丙朝天錄)』의 허균(許筠) 독후시(讀後詩)에 대하여
연민학지
2023 .02
강(江) 외 1편
문학들
2020 .11
全羅左水營의 水塲과 鯈魚의 意味
지방사와 지방문화
2020 .05
8월의 江
숙명문학
2019 .11
韓國古代文人作品中的屈原意象 - 以《東文選》為例
동아문화
2016 .12
중국 문헌 속의 江蘇 소재 高麗 지명과 전설 고찰
동아인문학
2022 .12
13세기 高麗 지식인의 몽골 인식 비교 -李奎報·金坵와 李承休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연구
2021 .08
어부 형상으로서의 굴원과 산티아고를 통해서 본 ‘홀로’의 자기서사 구현 - 굴원의『어부사』와 헤밍웨이의『노인과 바다』를 중심으로 -
영어영문학연구
2015 .01
劉勰 賦論의 특징과 의의 고찰 ― 賦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평론을 기대하며
중국어문학지
2017 .01
조선전기 초기사림파 문인의굴원․초사 수용 연구-세계와의 대결과 고독의 형상화를 중심으로-
한국한문학연구
2018 .01
고려중기 고구려계승의식의 변화와 ‘句高麗’
역사와실학
2020 .08
김시습과 남효온, 추방된 비전과 굴원·초사 수용-조선전기 정신사의 한 조망대로서-
동방한문학
2016 .01
李穀의 『稼亭集』에 수록된 大元帝國 역사 관련 기록 분석
역사학보
2018 .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