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李燕 (北京語言大學)
저널정보
국제언어문학회 국제언어문학 국제언어문학 제44호
발행연도
2019.12
수록면
67 - 87 (21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三國史記』에 의하면, 한반도에서의 屈原의 영향은 이미 6세기 말에서 7세기 초인 신라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이 때의 굴원의 형상은 대부분 충신의 귀감으로 신라와 고려시대의 忠臣列傳에 산재해 나타난다. 굴원에 대해 적극적으로 관심을 보인 사람은 고려 중후반의 대문호 李奎報였다. 이규보는 「屈原不宜死論」을 지어 굴원의 죽음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한편, 자신의 여러 편의 시에서 굴원을 언급했으며, 굴원의 騷體 형식을 계승하여 「祖江賦」를 창작하였다. 이규보의 이러한 문학창작 경향은 굴원처럼 그가 두 번이나 유배생활을 했던 것과도 관련이 있다. 이규보는 유배시기에 굴원을 통해 정신적 위로를 받았으며, 이로써 가장 힘겨웠던 猬島에서의 유배생활도 견딜 수 있었다.
이규보의 굴원에 대한 평가 역시 초기에는 굴원의 죽음에 부정적인 견해를 제기했지만 말년에는 생각을 전환했다. 굴원의 작품은 이규보에 의해 극찬을 받았고, 그의 騷體 형식도 이규보에 의해 그 정수가 고려에 전해지게 되었다. 요컨대 이규보로 대표되는 고려 문인들의 마음속에서 굴원의 사상과 작품은 분리되어 운용되었다. 즉 굴원의 인생 역정은 공경할만하지만 매우 슬프고, 그의 문학적 성취는 실로 눈부시다는 것이다.

목차

中國語要旨
1. 緒論
2. 李奎報對屈原之死的看法
3. 屈原對李奎報創作的影響
4. 結論
ABSTRACT
한국어 초록
参考文献

참고문헌 (2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706-0003767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