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 요약
1. 서론
2. 주요 인물의 형상과 특징
3. 주제의식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20세기초 일본인과 조선인의 「춘향전(春香傳)」 근대화 작업
한중인문학포럼 발표논문집
2016 .11
조선의 『西廂記』 수용 양상 연구
한국중어중문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04
2010년대 한국과 일본의 편의점, 점원, 사회, 문학 : 무라타 사야카(村田沙耶香)의 『편의점 인간』과 박영란의 『편의점 가는 기분』
한국학연구
2017 .12
李家源≪春香歌≫之特色与成就(이가원 ≪춘향가≫의 특색과 성취)
연민학지
2019 .01
영화 <춘향전>(1923년 작)의 지향 - 원작 고소설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열상고전연구
2015 .08
동아방송(DBS) 판소리드라마 연구
구비문학연구
2017 .01
춘향서사 轉變의 구도에서 바라본 영화 <성춘향>과 <춘향뎐>
고소설연구
2023 .06
판소리의 영화적 해석과 변모의 과정
공연문화연구
2021 .08
呂圭亨 작 <春香傳> 譯註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24 .03
판소리의 생성·향유와 지역성
어문연구
2016 .01
판소리 공연의 기획·연행·감상의 역학 - 2023 전주세계소리축제, 월드판소리페스티벌, K-VOX 페스티벌을 중심으로
공연문화연구
2024 .02
창작 판소리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고찰− 창작 판소리 <사천가>를 중심으로 −
한국사상과 문화
2015 .01
판소리의 대중화를 통한 힐링과 복지
국어문학
2015 .02
호남 지역 춘향전 필사의 전통과 필사자의 문학적 대응
국학연구론총
2021 .12
식민사회의 ‘춘향전’과 전유되는 전통
현대소설연구
2021 .03
영화 <춘향전>의 <춘향전> 수용 양상과 이본으로서의 특징 --임권택의 <춘향뎐>을 중심으로
문학치료연구
2017 .10
이광수의 <일설춘향전>에 대한 再考
한국현대문학연구
2016 .08
『춘향전, 역사학자의 해석과 토론』에 대한 서평
동아문화
2020 .12
박동진 명창의 삶과 현대 판소리사에서의 위상
무형유산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