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문제의 제기
2. 동양척식주식회사의 민족자본 해체와 친일 지주들의 전횡
3. 조선인 협잡배의 횡포와 주변인의 궁핍한 삶
4. 서간도에서 평화 찾기와 민족의 발견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영자의 전성시대』와 『紅樹林』에 나타난 여성 이주담론
춘원연구학보
2019 .04
『무정』의 이주담론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
현대소설연구
2017 .03
한국의 국제이주연구의 동향과 과제
민족연구
2019 .01
이주연구의 역사적 여정(旅程) -학제간 융합학문으로-
서양사론
2024 .06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탈리아인들의 해외 이주와 국내 이주
서강인문논총
2016 .04
일본의 지역인구 이동의 요인분석 : 기타규슈시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8 .11
글로벌 이주의 결정 요인에 대한 시스템 사고
HOMO MIGRANS
2020 .05
19세기 말~20세기 초 유럽인들의 대서양 이주
인문사회과학연구
2019 .01
20세기 일본의 도시 이주와 대중식당업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2 .04
이주에 관한 국제협력과 동아시아 이주 거버넌스 구축의 가능성
담론201
2019 .01
『흙』에 구현된 도산의 정의돈수사상과 유정한 사회에 대한 연구
현대소설연구
2018 .03
삼봉 정도전의 시선에서 본 유・불 갈등의 철학적 문제들
동서철학연구
2024 .03
삼봉 정도전의 治人觀 분석
퇴계학논집
2020 .01
삼봉 정도전과 함허 기화의 공부론 비교분석 -삼봉의 『불씨잡변』과 함허의 『현정론』을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3 .06
시대적 사명과 인문학의 역할
동아인문학
2021 .03
근대 동북아시아 역내 이주의 양상과 실태 -1920∼1930년대 조선과 일본을 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4 .10
‘이후’의 인문학, 융합의 교차점에서
횡단인문학
2018 .02
ライフスタイル移住の限界 - 日本へ戻る日本出身者たち
인문사회과학연구
2023 .02
[On This Topic] Korean Migration in the Global South: Contextualizing Migration Trajectories and Complexities
Korea Journal
2022 .12
농촌에서 진행한 인문학 프로그램의 효용성에 대한 고찰
인문논총
2021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