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등록된 정보가 없습니다.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주연구의 역사적 여정(旅程) -학제간 융합학문으로-
서양사론
2024 .06
일본의 지역인구 이동의 요인분석 : 기타규슈시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2018 .11
20세기 일본의 도시 이주와 대중식당업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2 .04
글로벌 이주의 결정 요인에 대한 시스템 사고
HOMO MIGRANS
2020 .05
이주에 관한 국제협력과 동아시아 이주 거버넌스 구축의 가능성
담론201
2019 .01
19세기 말~20세기 초 유럽인들의 대서양 이주
인문사회과학연구
2019 .01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이탈리아인들의 해외 이주와 국내 이주
서강인문논총
2016 .04
성인지적 관점에서 본 러시아 이주여성의 문제와 정책과제
슬라브학보
2015 .06
ライフスタイル移住の限界 - 日本へ戻る日本出身者たち
인문사회과학연구
2023 .02
[On This Topic] Korean Migration in the Global South: Contextualizing Migration Trajectories and Complexities
Korea Journal
2022 .12
Exclusionary Labor and Partially Inclusionary Marriage Immigration Incorporation: The Cases of Japan and Korea
Korea Observer
2018 .06
Settlement and Resettlement in Asia: Migration vs. Empire in History
The Asian review of world histories
2015 .01
Unending Journeys: Migration Trajectories of Korean Im/migrants in South Africa
Korea Journal
2022 .12
제주 이주 노동의 역사와 정체성 문제
도서문화
2024 .06
The Transformation of the Korean Chinese Community: The Case of the Age of Migration in China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2016 .08
호주 인구문제의 정치화와 이민정책 : 한시적-영주이민 연계와 ‘의도하지 않은’ 결과들
민족연구
2021 .09
러시아 극동 소련 한인의 중앙아시아 강제이주 계획과 이주 과정 - 1937년 이주문서를 중심으로 -
재외한인연구
2021 .02
Migration vs. Repatriation to South Korea in the Past and Present
Journal of Contemporary Korean Studies
2017 .03
2010년대 러시아 국제이주와 중앙아시아 노동 이주의 변화
슬라브硏究
2023 .06
근대 동북아시아 역내 이주의 양상과 실태 -1920∼1930년대 조선과 일본을 중심으로-
해항도시문화교섭학
2024 .1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