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문〉
Ⅰ. 머리말
Ⅱ. 불타관의 발달과 밀교의 대일여래사상
Ⅲ. 원불교의 법신불관
Ⅴ. 밀교의 ‘대일여래’와 원불교의 ‘법신불 일원’의 비교
Ⅵ.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원불교 ‘교화(敎化)’ 활성화 방안 모색 - 법인정신(法認精神)의 계승과 연계하여 -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2 .03
원불교 법인정신과 ‘佛法에 대한 선언’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03
『금강경』과 선종에 나타난 부처의 개념 및 불신관
한국불교학
2015 .01
원효 『대승기신론소』의 십지(⼗地) 고찰
한국불교학
2023 .05
『大般涅槃經後分』 연구
인도철학
2018 .01
원불교 신앙대상과 신앙호칭에 대한 담론 고찰
신종교연구
2017 .01
우데나 붓다에게 투영된 변곡점 : 불상전파와 문학의 조응
동서비교문학저널
2016 .12
소태산의 정법회상론 -원불교 정체성의 길을 묻다-
신종교연구
2019 .01
원불교 진리관 연구의 종합적 검토와 과제 - ‘일원상의 진리’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2 .09
청화 염불(선)의 실천 생활화 고찰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06
승리와 축복의 게송(Jayamaṅgala gātha)에 관한 고찰
불교학리뷰
2019 .01
중국 불성사상의 전개 과정 연구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09
원산 서대원의 생애와 사상 재조명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1 .03
기후위기시대 원불교사상의 생태학적 재해석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22 .09
인도 종교의 초기 삼신(三神) 체계: 베다 종교와 불교의 비교 연구
동서철학연구
2018 .01
현대인을 위한 법회 구성의 제일의―전통과 미학이 충족된 법회
불교문예연구
2019 .01
『법화경』에서 법사행으로서 법공양에 관한 연구
동아시아불교문화
2023 .06
원불교 신앙관 모색 :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진여사상과 신란(親鸞)의 정토사상을 통해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03
원불교 ‘법인성사’ 교육의 방안 제언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9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