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ABSTRACT
1. Introduction
2. Theoretical framework
3. Data and Methodology
4. Discussion of Findings
5. Conclusion
REFERENCES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영 법률 번역에서 주제(theme) 선택에 관한 사례 연구: 체계기능주의 언어학적 관점에서
통역과 번역
2020 .01
중국의 언어학적 번역 연구 동향 고찰
통번역교육연구
2020 .01
번역 학습자의 서한 번역전략 분석- 기사문 관계절을 중심으로 -
통역과 번역
2021 .01
Machine Translation versus Human Translation: The Case of English-to-Chinese Translation of Relative Clauses
언어와 정보
2018 .02
번역학 연구에서 다중 번역 텍스트의 활용을 위한 방안
통번역학연구
2017 .01
Different Translators and Different Translations: Bishop’s 「Korean & Her Neighbours」 and Two Translations
통번역교육연구
2017 .01
기계번역·인간번역·트랜스크리에이션의 문체 비교: 광고 번역을 중심으로
통번역학연구
2017 .01
기계번역에서 이중주어 구문의 한영 번역 양상- 구글 번역과 네이버 파파고의 법조문 번역 사례 비교 -
T&I REVIEW
2022 .06
Systemic Functional Grammar and its Usefulness in English-Korean Translation
언어학연구
2020 .01
한국영화 번역 시스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번역학연구
2020 .12
Training for th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ture: Theory and Practice
T&I REVIEW
2015 .06
사회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번역가 네트워크 연구: 한국문학 영어 번역 공역자를 중심으로
번역학연구
2024 .09
『 채식주의자』의 두 중역본(中譯本) 번역 비교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2024 .09
한국문학번역의 2인 공동번역체제에 관한 고찰
스페인어문학
2016 .12
Differing Perspectives on Translation: A Brief History & Overview
통번역교육연구
2018 .01
How Much Written-ness is Enough?: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Grammatical Metaphor in English-Korean Translation
통번역학연구
2021 .01
한국의 공공기관, 출판업계, 번역학계의 번역언어 연구
번역학연구
2015 .03
번역가 연구: 유형기, 본격 기독교 번역자
번역학연구
2017 .06
A Suggestion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ranslation Education
통번역교육연구
2021 .11
한중번역에 나타나는 부사어 번역유형 고찰–황석영의 <삼포 가는 길> 중역본을 중심으로
외국학연구
2019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