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머리말
2. ‘공’의 층위와 ‘향중공론’ 형성의 배경
3. 부세 운영의 모순과 ‘향중공론’의 전개
4. ‘향중공론’의 작동 방식과 추이
5.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공공성(公共性)의 우리말 뜻 매김
동서철학연구
2020 .01
스사노오 신화와 神代記의 논리
일어일문학
2018 .11
19세기 전반 田稅 수입 감소와 量田 추진
학림
2023 .03
중년여성의 자아정체성 확립에 관한 불교상담적 접근: 불교에서의 고향의식을 중심으로
불교문예연구
2021 .12
종교적 `공공성`의 개념과 의미 고찰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06
三國遺事』인용『鄕傳』과『殊異傳』의 관련성 검토
영남학
2015 .01
오쿠라(憶良)의 用字法 - 「爲」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18 .01
동일본 대진재를 계기로 공공성(公共性)을 모색하는 일본종교 : 3월 11일의 대재난 앞에서 종파도, 종교도 뛰어넘어 모두가 한 마음이었다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12
1946년 10월 대구·영남 사건의 명명 작업과 그것의 정치성: 사건·사태, 소요·소동, 민요·민란을 중심으로
대구사학
2019 .01
도가의 유토피아 — 조선후기 및 일제강점기, ‘소국과민’과 ‘무하유지향’에 대한 이해 —
동양철학연구
2017 .01
생(生)의 빛과 향으로
월간에세이
2020 .10
조선시대 胡亂 被擄人과 두 딜레마
율곡학연구
2022 .12
종교 공공성의 담론과 의제 : 신앙, 성물과 성지
대순사상논총
2022 .12
예술인소셜유니온 5년, 공생(共生)의 길을 찾아 : 예술의 공공성(公共性)과 예술인 생존권(生存權)의 조화를 위하여
황해문화
2017 .06
‘토라적 공공성’의 관점에서 다시 보는 아모스 선지자의 공공담론 : 아모스 2장 6-7절의 재해석
구약논단
2016 .03
陽明學과 公共性
유학연구
2016 .02
高興 鄕校의 尊聖契
역사학연구
2017 .08
조선 초기 지방지배와 향촌교화에 대한 연구와 쟁점
역사와실학
2023 .04
고려 향·부곡의 기원과 존재 양태
역사연구
2024 .09
종교의 공공성과 시대정신 : 근대 한국 신종교의 공공성이 지닌 종교 윤리적 의미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8 .06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