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명수 (계명대학교)
저널정보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藏書閣 제35집
발행연도
2016.4
수록면
6 - 42 (37page)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글에서는 일제강점기 구황실 재정 운영에 대한 전체적인 틀을 제시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삼고 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구황실 재정’이라 함은 1910년에 일제에 의해 대한제국이 강제병합되면서 ‘李王家’로 격하된 대한제국 황실이 ‘고유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1년을 단위로 하여 어떻게 자금을 조달하고 집행했는지, 즉 예산과 결산이 어떻게 편성되고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일련의 과정을 통틀어 지칭한다고 하겠다. 따라서 구황실 재정에 대한 검토를 통해 일제강점기 구황실이 가지고 있던 ‘고유기능’이 무엇이었는지가 명확하게 드러날 것으로 기대한다.
이 글에서 이용되는 자료는 한국학중앙연구원기초토대사업으로 진행된 ‘근현대 구(舊)황실 관련 자료조사’의 성과에 기대고 있다. 이번에 검토할 자료는 일본 宮內公文書館에 보관되어 있는 『王公族錄』 중에서 1915년도, 1916년도(식별번호2109), 1918년도(同2111), 1919년도(同2112), 1921년도(同2114)이다. 이 문서들은 舊宮內省 宗秩寮 문서로 분류되었다. 宗秩寮는 宮內省에 소속된 부서로 황족, 황족회의, 왕족, 공족, 화족, 작위 등에 관한 사무를 맡아보던 곳으로 1947년까지 존재했던 관청이다.
구황실 재정의 세입은 기본적으로 조선총독부특별회계를 통해 받는 李王家歲費가 가장 큰 재원이었다. 여기에 이왕가 소유의 기본재산 수입, 보통재산 수입(전답수입과 대여료수입), 기타 잡수입, 이자수입, 부속 정원인 창경원의 관람료수입 등이 가산되었다. 세출은 주로 창덕궁비, 덕수궁비, 약궁비로 구성된 내전비, 구황실(이왕가)의 살림을 맡아보는 이왕직 관련 경비, 그리고 기본재산조입금과 예비금으로 구성되었다. 세입임시부와 세출임시부는 수입이나 지출이 지속적이지 않고 한시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설정되었다. 창덕궁 화재, 영친왕의 일시 귀국, 고종황제의 승하 등 우연적인 요소에 의해 재정적 필요가 발생할 경우 추가예산을 편성했다.
구황실 재정은 기본적으로 구황실을 중심으로 한 王公家의 온존과 유지라는 성격이 강했다. 또한 高麗燒靑磁에 대한 연구 지원, 조선미술품제작소, 조선고서간행회, 고적보존회, 서화미술원, 사찰에 대한 보조금이나 기부금은 구황실의 조선문화 보존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 의사표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역으로 부속정원비(박물관, 동물원, 식물원)의 사례는, 조선총독부가 구황실의 명망과 재산을 이용하여 조선민중들을 지배하고자 하는 의도를 보여준다.
조선총독부는 유동성자산을 위주로 기본재산을 설정했다. 그로 인해 기본재산으로 설정되지 않은 부동산은 보통재산으로 관리되어 기본재산관리규칙의 범위 밖에 놓이게 되었다. 하지만 유동성자산을 기본재산으로 설정하여 조선총독의 인가를 받아야만 처분할 수 있도록 정해놓으면, 결국 조선총독부는 이왕가 재산 전체를 통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통제는 물론 식민지 지배에 협력하는 세력을 온존시킨다는 목적에서 비롯되었음은 명확하다. 그 중심에 이왕가가 있었다.

목차

국문요약
Ⅰ. 머리말
Ⅱ. 구황실(이왕가) 재산과 예결산 결제라인
Ⅲ. 구황실(이왕가) 예산의 歲入 구성
Ⅳ. 구황실(이왕가) 예산의 歲出 구성
V. 추가예산의 편성과 구황실 재정의 지출 동향
Ⅵ. 맺음말: 향후 연구의 방향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3)

참고문헌 신청
『大正四年·五年 王公族錄』 식별번호 2109, <大正四年度李王家豫算綱要>; <大正四年度李王家豫 算說明>; <大正四年度李王家豫算比較對照表>; <大正五年度李王家豫算>; <大正五年度李 王家豫算綱要>; <大正五年度李王家豫算說明>; <大正五年度李王家豫算比較對照表>; <大 正五年度李王家追加豫算>; <大正五年度李王家追加豫算說明書>; <大正四年度李王家決算>; <大正四年度李王家歲費歲入歲出決算書>. google schola 『大正七年 王公族錄』 식별번호 2111, <大正六年度李王家追加豫算>; <大正六年度李王家追加豫算 說明書>; <大正六年度李王家追加豫算及說明(歲入)>; <大正七年度李王家豫算>; <大正七 年度李王家豫算綱要>; <大正七年度李王家豫算說明>; <大正七年度李王家豫算比較對照 表>; <大正六年度李王家決算>; <大正六年度李王家歲費歲入歲出決算書>. google schola 『大正八年 王公族錄』 식별번호 2112, <大正七年度李王家追加豫算>; <大正七年度李王家追加豫算 說明書>; <大正八年度李王家豫算>; <大正八年度李王家豫算綱要>; <大正八年度李王家豫 算說明>; <繼續事業年度割變更說明書>; <大正八年度李王家豫算比較對照表>; <大正七年 度李王家歲費歲入歲出決算書>. google schola 『大正十年 王公族錄』 식별번호 2114, <大正十年度李王家豫算>; <大正十年度李王家豫算綱要>; <大 正十年度李王家豫算說明>; <大正九年度李王家歲費歲入歲出決算書>. google schola 司計課, 『昭和五年度李王家豫算』, 국가기록원 문서번호 CJA0003921. google schola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151-002859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