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1. 머리말
2. 호남문집 소재 일기 조사와 부록의 일기
3. 문집 부록의 일기 수록 양상
4. 맺음말: 문집 부록에 수록된 일기의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호남문집 소재所載 일기류 자료의 현황과 가치
국학연구
2016 .12
호남지역 일기자료 조사‧정리의 사례와 그 활용 가치 - 일기자료 조사‧정리 방안 모색과 관련하여
영남학
2020 .01
옛 문집을 읽는 이유
월간에세이
2019 .06
한국고전종합DB의 『한국문집총간』 분석 시각화 방안 연구
민족문화
2021 .03
호남유배인의 문헌자료와 문화콘텐츠
한국시가문화연구
2018 .01
기행일기 정리의 현황과 과제
국학연구론총
2018 .01
艮齋 田愚 문집과 원고본 현황
漢文敎育論集
2021 .12
한국문집총간 우선번역서목 선정원칙과 서목의 선정
민족문화
2020 .06
조선후기 문집 간행 및 유통 양상 재고
국문학연구
2021 .01
조선시대 기행일기의 범주에 대한 논의
국학연구
2018 .03
조선시대 임진왜란 일기자료의 현황과 傳存 양상
한국민족문화
2020 .11
일제강점기 문집편찬과 대구・경북지역의 상황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016 .01
일기와 고소설의 관련 양상
고소설연구
2018 .01
빅터 피게로아 클라크 지음, 정인환 역, 『살바도르 아옌데: 혁명적 민주주의자』(서해문집, 2016)
서양사론
2017 .03
문헌의 누적성과 문집 연구-박대덕의 『합강집』을 중심으로-
漢文學報
2022 .12
울산 지역 문집의 현황과 과제사적 위상
동양한문학연구
2016 .02
금재 최병심을 통해 본 간재문집 간행의 갈등양상
한국철학논집
2022 .11
여말선초 문인들의 개인 문집 간행 -현존본과 서지적 특징을 중심으로-
포은학연구
2017 .01
검열자와의 소통 공간으로서의 일기 - 1930년대 대구공립고등보통학교 남학생 A의 일기를 중심으로 -
일본어문학
2022 .08
조선시대 한문 기행일기의 현황과 가치
한국민족문화
2019 .0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