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DBpia Top 10%동일한 주제분류 기준으로
논문요약
Ⅰ. 머리말
Ⅱ. 새로운 안보이론에 대한 기존논의
Ⅲ. 신흥안보, 그 창발의 개념화
Ⅳ. 신흥안보 거버넌스의 이론적 모색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식량안보 중심의 신흥안보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간 연계성 분석
국가안보와 전략
2023 .06
신흥안보 거버넌스: 이론적 고찰과 대안적 분석틀의 모색
국가안보와 전략
2019 .01
신흥안보위협과 군의 과제: 주요 이슈와 대응 전략
세계지역연구논총
2022 .06
Conceptualizing and Framing Economic Security?: The Case of 30 Year Russian?Korean Security Relations Tested
The Korean Journal of Defense Analysis
2021 .01
Data Security in the Context of Global Security : Perspectives, Trends, and Issues
IFANS FOCUS
2020 .11
인구, 이주, 난민안보의 ‘복합지정학’ : 지구촌 신흥안보의 위협과 한반도에의 함의
아세아연구
2017 .03
Governance on COVID-19 as Emerging Security Challenges
한국정치학회보
2022 .06
데이터 안보와 디지털 패권경쟁: 신흥안보와 복합지정학의 시각
국가전략
2020 .01
코로나19이후 신안보 위협과 대응전략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020 .01
아세안 신흥안보 협력 강화를 위한 모델 구축에 관한 연구
[KIEP] 세계지역전략연구
2022 .12
근거이론을 적용한 군 조직의 보안수준 변화요인 연구
한국경호경비학회지
2017 .12
인간안보론 관점에서 본 남북교류 · 협력의 가능성 연구
글로벌교육연구
2021 .01
인간의 요소에 초점을 맞춘 정보 보안 전략 탐색
교양학연구
2017 .12
조직 정보보호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보호담당임원의 내 · 외적 특성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 Management
2020 .08
안보 개념에 대한 글로벌 인식의 관점
글로벌교육연구
2015 .01
포괄안보시대 융합적 안보시스템 구축의 필요성과 추진방향
한국국가안보·국민안전학회지
2015 .06
한국 국제정치학에 있어 안보연구의 경향 평가와 전망 : 1963-2000년간 국제정치논총에 게재된 관련 논문 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평화연구
2017 .04
기업의 정보보호 공시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지식경영연구
2019 .01
중국 국가안전법제의 체계 연구- 신 ‘「국가안전법」(国家安全法)’을 중심으로 -
중국법연구
2017 .01
신안보 개념으로서 생명안보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및 미국-이란 분쟁
국제관계연구
2022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