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들어가며
2. 中國本 『小學』주석서 특징 개괄
3. 元ㆍ明ㆍ淸代 간행된 주요『小學』주석서
4.『小學集成』의 판본과 주석
5. 나오며
[참고문헌]
[中文提要]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史記》 ?貨殖列傳? 주석서와 그 修辭學的 주석― 18세기 조선의 주석서를 중심으로
대동문화연구
2021 .01
『詳說古文眞寶大全』(前集) 註釋의 문제점
한국한문학연구
2020 .01
英祖의 〈小學〉類 서적 간행과 의의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21 .01
조선시대 서당교육과정에서 바라본 ??동몽선습(童蒙先習)??의 의미
유학연구
2021 .01
남계 박세채의 「소학문답」을 통해 살펴본 17세기 소학 연구의 쟁점과 의의
동양한문학연구
2019 .01
韓國經學 연구에 있어서의 體人知 [Change] (體: 정체성, 人: 관계성, 知: 창조적 지식), - ‘있어왔던’ 경학 연구에서 ‘있어야 할’ 경서 공부로 -
유학연구
2016 .02
『소학(小學)』의 유포 양상 : 한국과 중국의 경우를 중심으로
아시아문화연구
2015 .03
17세기 조선에서의 『소학(小學)』 읽기 : 김간(金榦)이 참고한 문헌과 문제 의식
역사와실학
2024 .11
16세기 『소학』의 번역과 변화
코기토
2017 .02
『여자소학』(1927년)의 주석 연구
한글
2020 .03
조선 유학의 규율 권력, 『소학(小學)』
한국철학논집
2021 .11
≪萬曆野獲編⋅婦女≫ 飜譯 및 註釋(3)
중국어문논총
2019 .01
중국화엄교학의 전개와 華嚴註釋에 담긴 十地思想
동아시아불교문화
2017 .01
여성 젠더(gender)적 시각으로 본 《詩集傳》 <國風> 註釋의 논리구조와 서술기법 ― <詩序>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중국어문학지
2017 .01
한국고전번역원의 주석DB 활용 및 개선방안 연구
민족문화
2015 .06
『小學』을 통해 읽는 유교문명의 완성과 해체 - 『小學集註』, 『海東續小學』, 그리고 『小學讀本』을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16 .12
조선후기 『소학』의 磁場과 變容 – 『小學枝言』, 『士小節』을 중심으로 –
동방학지
2016 .01
佔畢齋 金宗直의 道學思想에 관한 연구
유학연구
2015 .11
≪萬曆野獲編ㆍ婦女≫ 飜譯 및 註釋(2)
중국어문논총
2018 .01
한국어 학습자 말뭉치 구축과 주석의 제문제: KoLLA (Korean learner Language Analysis)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언어사실과 관점
2016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