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ENG
주제분류

추천
검색
질문

논문 기본 정보

자료유형
학술저널
저자정보
김소영 (서울대학교)
저널정보
한국어문학회 어문학 語文學 第145輯
발행연도
2019.9
수록면
121 - 150 (30page)
DOI
10.37967/emh.2019.09.145.121

이용수

표지
📌
연구주제
📖
연구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AI에게 요청하기
추천
검색
질문

초록· 키워드

오류제보하기
Subtitles of TV entertainment programs are gradually expanding due to changes in the TV broadcasting environment, changes in the character of entertainment programs, and the evolution of subtitle functions in entertainment programs. At the same time, actively using the newly-coined words created on the Internet and elsewhere is becoming a trend. It is not realistic to evaluate entertainment subtitles with a conventional and preposterous view that the language of broadcasting should be exemplary. When 12 newly-coined words were selected and used as actual broadcast subtitles, and the understanding of each generation was measured, the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newly-coined words was highest among those in their 20s and the level of understanding decreased rapidly among those in their 50s and 60s. Broadcasting should be directed toward public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Thi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writing subtitle language for entertainment programs.

목차

1. 서론
2. 예능 프로그램 자막의 특성
3. 방송 언어 평가 기준과 ‘소통성’
4. 예능 자막과 소통성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