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005 소포클레스의 도덕, 시민교육관 - 『콜로노스의 오이디푸스』를 중심으로
장지원
029 프랑스 미등록 이주아동 교육 정책 고찰: 한국사회에의 시사점을 중심으로
이민경
051 교사의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 요인 탐색: 서울시 중등교사를 중심으로
조대연 가신현 유주영 김종윤
081 교사협력활동과 수업전문성 효과인식의 관계에서 수업효능감의 매개효과 분석
박주호 송인발 김화영 곽현주
107 학교기반 학습컨설팅 모형개발
윤채영 김정섭
137 목적지향적 수업개선을 위한 수업분석모형 개발
강정찬
167 초등학교 교육과정과 수업설계의 자원으로서 스마트폰: 아동들의 교육적 경험
오영범
197 팀 학습에서 이루어지는 소셜미디어 활용사례에 대한 질적 고찰 ? 대학생을 중심으로
정한호
225 교육감에 대한 장관 감독권의 한?일 간 비교
김경회
249 PISA 성취수준 향상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차별적 효과 분석
송미영 임현정 김성숙
275 한국인의 복지태도가 교육복지 관련쟁점에 대한 동의에 미치는 영향
김정숙 성열관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교육 제42권 제3호
[KEDI] 한국교육
2015 .10
한국교육 제42권 제2호
[KEDI] 한국교육
2015 .07
박영효의 근대적 가치 관념의 형성과 특징 -「건백서」에 나타난 통의, 자유, 격물치지 개념 인식을 중심으로
미래교육학연구
2019 .01
한국 교육행정학에서 ‘수월성’ 가치의 의미구조와 맥락 - 한국 교육에서 수월성의 의미와 교육행정의 과제 -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2016 .05
코로나19 이후 한국교육시스템
뉴 래디컬 리뷰
2020 .06
한국 환경교육 현황조사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7 .06
2017 한국교육종단연구 -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중학생의 교육경험과 교육성과(Ⅱ) (RR2017-15)
[KEDI] 연구보고서
2017 .01
2015 한국교육종단연구 한국교육종단연구2013(Ⅲ) : 초등학생의 교육경험과 교육성취(Ⅱ)(RR2015-29)
[KEDI] 연구보고서
2015 .01
2016 한국교육종단연구 한국교육종단연구2013(Ⅳ): 중학생의 교육경험과 교육성취(Ⅰ) (RR2016-16-01)
[KEDI] 연구보고서
2016 .01
한국 사회 환경교육의 발전과정 : 『환경교육』을 통해 본 사회 환경교육의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9 .06
한국형 환경교육의 목표와 내용 체계화 방안 연구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5 .12
한국은 하나의 철학이다: 리(理)와 기(氣)로 해석한 한국 사회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17 .12
교육의 사회화를 위하여
대학: 담론과 쟁점
2019 .09
한국 경제 어디로?
한경BUSINESS
2024 .04
[한국교육행정학회] 정치교육을 위한 교육행정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2020 .09
한국교육정책의 이념과 가치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2015 .08
2018 한국의 산업
연구보고서
2018 .12
INNOVATION POLICY OF HIGHER EDUCATION - TRAINING IN KOREA AND REFERENCE LESSONS TO VIETNAM
입법학연구
2017 .01
교육행정학연구에 활용된 이론 분석을 통한 한국형 교육행정이론의 가능성 탐색
한국교육행정학회 학술연구발표회논문집
2019 .12
근대한국 교육 개념의 변용 : 교육개념사(1)
[KIIP] 한국지식재산연구원 도서DB
2020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