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
1. 들어가는 말
2. 낙학洛學의 계승과 확산
3. ‘리위기주理爲氣主’를 통한 리의 주재 강조
4. 기의 본말本末과 심본선心本善
5. 심체유선악心體有善惡 비판과 심성일체心性一體
6. 명덕明德과 심성일치心性一致의 수양론
7.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梅山 洪直弼의 시문학 一考
漢文古典硏究
2017 .01
조선후기 호론(湖論)과 낙론(洛論)의 논쟁과 교유
한국학(구 정신문화연구)
2023 .03
卿輅 李相殷의 한국유학 연구 방법과 정신
孔子學
2015 .11
기호학파 낙론계 심론의 특징 : 심의 본래성에 주목한 김원행, 전우의 논의를 중심으로
양명학
2016 .08
기호학파 낙론계 심본선(心本善)의 이론적 구조와 도덕 실천적 의의
동서철학연구
2020 .01
고산(鼓山) 임헌회(任憲晦)의 심론- 기호 낙론에 유의하여 -
유학연구
2017 .08
구봉 송익필과 남당 한원진의 ‘직(直)’ 사상 연구와 현대적 의의
동서철학연구
2023 .03
19세기 대구지역 지식인의 존재양상 — 임재臨齋 서찬규徐贊奎(1825~1905)의 정체성 형성을 중심으로
국학연구
2022 .03
필기와 전기의 거리
고전과 해석
2017 .01
관봉 현상벽의 인물성동이론 연구 - 『맹자』「생지위성장」과 『중용』 ‘솔성지위도’ 해석을 중심으로
율곡학연구
2021 .12
도암 이재의 성리설 연구 - 호락논쟁의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
양명학
2022 .12
기호학파 낙론계 명덕설 -왜 심인가?-
유학연구
2017 .01
筆記를 통해 본 조선전기 영남지역의 문화와 인물
漢文學報
2021 .12
이간의 이기동실‧심성일치론과 임성주의 비판
율곡학연구
2022 .12
이세직(이일직)의 활동을 통해 본 대한제국기 정치와 외교
역사와현실
2016 .03
寒暄堂 金宏弼의 師弟 · 師友關係와 학문세계의 여정
민족문화
2015 .06
梅山 洪直弼의 儒道 존숭과 警世의 시문 창작에 관한 고찰
漢文古典硏究
2015 .01
호락논쟁을 통한 낙론계 심론의 전개 -노주(老洲)ㆍ매산(梅山)에서 간재(艮齋)로의 전개를 중심으로-
한국철학논집
2022 .02
김종직의 사제관계와 도학사적 위상
漢文學報
2021 .12
여호 박필주의 성리설에 관한 연구
동서철학연구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