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국문초록
1. 서론
2. 근대 지식 수용과 역술(譯述)의 필요성
3. 근대 계몽기 역술?인포의 특징
4. 역술문화상(譯述文化上)으로 본 이기(1908)의 ‘가정학설’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근대 계몽기 신문ㆍ잡지의 번역과 역술 문화
동악어문학
2016 .02
時調漢譯과 時調中譯에 對한 比較 硏究 : 翻譯詩選 『동짓달 기나긴 밤을』을 中心으로
민족문화
2018 .12
근대 계몽기 지식 유통의 특징과 역술 문헌에 대하여
어문론집
2015 .09
韓愈 散文의 ‘幾何’ 구문과 ‘胥’자의 번역 검토
漢文古典硏究
2021 .01
『飜譯小學』 卷七과 『小學諺解』 卷五의 飜譯 硏究
한국어사 연구
2017 .03
翻譯、傳敎与本土化:晚淸小說『五更鐘』(1907)硏究
중어중문학
2020 .12
『朝鮮語譯』 소재 <崔孤雲傳>에 대하여
열상고전연구
2020 .01
조선시대 類書류 연구방법론과 디지털인문학-지식학적 접근과 지식지도 구상을 중심으로-
한국실학연구
2018 .01
지식의 유형과 지식 지형에 대한 인문학적 연구 방법론
인문연구
2018 .06
쓸 데 없는 지식은 없다
번역하다
2022 .03
강화학안 편술의 제안
한국양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8 .10
초등학생을 위한 장르 지식의 활용 방향 탐색 - 내용 지식을 중심으로
작문연구
2020 .01
한국 한문 고전자료와 학술 플랫폼
대동문화연구
2022 .03
지식 교류의 차원에서 본 근대 한국의 번역 문제 연구 ―번역 개념과 번역 정책을 중심으로―
日本學硏究
2019 .01
『대한학회월보』에 출현하는 일본한자어 연구 : 「역술기사」를 대상으로
일어일문학
2016 .05
디지털 정보와 지식에 관하여
철학∙사상∙문화
2020 .01
『장자』의 ‘無用之用’에 함축된 철학적 의미 분석
동양철학연구
2024 .02
지식 생산과 전파 · 수용에 따른 지식 권력 연구 방법론
한국민족문화
2018 .02
학위과정 유학생을 위한 지식 기반 한국어 읽기 교재의 체계와 요목
한성어문학
2017 .0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