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I. 서론
II. 장으로서의 성령
III. 시간과 공간
IV. 편재성
V. 비판적 평가
VI. 결론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판넨베르크의 세계 이해에 대한 소고
신학논단
2020 .03
판넨베르크와 레비나스 : 무한과 주체성에 관하여
신학논단
2018 .03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의 계시 이해 고찰 - 미래와 현재 속에 있는 계시 이해에 대한 평가-
신학과 목회
2025 .01
A Critical Study on Pannenberg’s Theodicy ― Focusing on Divine Power, Human Freedom, and Eschatological Vision
신학사상
2021 .12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교회론의 인간학적인 기초
한국조직신학논총
2021 .09
몰트만과 판넨베르크 신학의 비교 연구 : 역사관, 그리스도론, 프락시스를 중심으로
신학과 목회
2018 .11
판넨베르크의 창조론에 나타난 창조적 역동성의 보편사적 의미로서 ‘교회일치’
신학과세계
2019 .12
예수의 성육신이 지니는 보편사적 의미 : 판넨베르크의 보편사 신학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신학논총
2019 .04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 신학에서 영원성과 편재에 관한 삼위일체 개념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23 .06
종교가 없는 시대의 신학 : 볼프하르트 판넨베르크의 세속화론
신학논단
2024 .09
헤겔로부터 칸토어까지 - 신의 속성에 관한 판넨베르크의 논의에 대한 새로운 통찰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23 .12
판넨베르크(Wolfhart Pannenberg), 『신학과 철학』(Theologie und Philosophie) - 판넨베르크, 『신학과 철학』, 오성현 옮김, 종문화사, 2019 -
Catholic Theology and Thought
2021 .06
판넨베르크 계시이해의 객관적 층위 강조에 대한 신학적 고찰
선교와 신학
2021 .02
몰트만의 사회적 삼위일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판넨베르크의 관점에서
한국조직신학논총
2020 .01
자연과 인간의 유사성과 차이에 대한 신학적 고찰 ― 판넨베르크의 뺷조직신학뺸을 중심으로, 생태주의 인간론의 아포리아를 넘어
한국조직신학논총
2019 .01
개혁주의생명신학의 성령론 이해와 기독교 교양교육
신학과 복음
2022 .11
성령의 메타성(meta-pneumatology): 초월-통합적 주체의 형성- 4세기 라틴(Latin)-헬라(Greek) 교부들의 성령 이해를 중심으로
신학과세계
2022 .06
오늘날 성령론은 어디로 가고 있는가? : 성령의 인격성을 둘러싼 현대 성령론 논쟁에 대한 개혁주의적 고찰
개신논집
2015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