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Ⅰ. 서론: 조선학 범위 설정의 문제
Ⅱ. 김태준의 등장, 경쟁하는 ‘조선학’
Ⅲ. 한문학사 서술에 나타난 김태준 조선학의 성격
Ⅳ. 혁명가 김태준의 삶과 의식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930년대 중국 경험 이후 김태준의 조선학 연구와 역사동력 인식
역사와실학
2019 .08
김태준의 『조선소설사』 개작과 문학사적 기원으로서의 한글의 위상
인문과학연구
2017 .09
김교신의 조선산 기독교에 대한 역사적 이해 : 조선혼과 조선심을 중심으로
한국기독교와 역사
2017 .09
김태준의 시조관과 시조 연구 : 김태준 본 『청구영언』과 ‘조선가요개설’을 중심으로
시조학논총
2017 .07
김태준․임화의 지적협력 -신문학사에서 민족문화 기획까지
구보학보
2020 .01
망명자 김옥균(金玉均)에 대한 일본의 처우와 조선정책(1884~1890)
역사와현실
2018 .09
이태준의 언어의식과 수필의 미적 근대성
우리문학연구
2025 .01
김태준 초기이력의 재구성과 ‘조선학’의 새로운 맥락들
민족문학사연구
2015 .01
김태준의 조선한문학사(朝鮮漢文學史) 의 인용 문헌 활용 양상 연구
열상고전연구
2022 .06
보성전문학교에서 김일성종합대학으로 : 식민지 지식인 김광진의 생애와 경제사 연구
역사학보
2016 .12
조선 여자
구보학보
2019 .01
식민지 시기 재조일본인의 출판활동과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018 .01
새롭게 발굴된 역관 김준학(金準學)의 《한객건연집정선(韓客巾衍集精選)》에 대한 연구
동아인문학
2022 .12
서양인의 조선여행 기록문을 통한 근대 식생활사(食生活史)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16 .01
昏君을 향해 세운 절의 - 조선 후기 光海朝 節臣의 史的 형상화 양상 -
동방한문학
2021 .09
1894년 갑오개혁 이후 주한 일본공사 이노우에의 개입과 대원군의 정치적 몰락? 이준용역모사건과 김학우암살사건을 중심으로 ?
사림
2022 .07
해방기(1945~48) 북한 문예지에 게재된 대표 단편소설 연구 -인물 형상화의 경직성과 유연성을 중심으로
현대소설연구
2020 .12
경성제대 예과 학생들의 1930년대 ‘조선(朝鮮)’상 연구 : 일본어잡지 『청량』의 소설을 중심으로
일본문화연구
2017 .04
‘한학자’ 김태준에 대하여 - 經學院 直員·明倫學院 講師 재직 10년간
동방학지
2019 .01
식민지 탐정문학과 제국의 사법체계- 김내성 일본어 탐정문학의 조선어 번역과정을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2018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