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1. 머리말
2. 소론, 강화학파, 정인보
3. 조선후기 문화사 서술의 기준과 내용
4. 전통의 재구성과 근대와의 접점
5. 맺음말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18세기 少論系 文人의 記夢詩에 나타난 意識의 諸樣相
동방한문학
2012 .01
남구만의 교유인물과 『약천집』 「시」의 편집성향
우리문학연구
2018 .07
위당 정인보의 양명학 연구와 다산 이해
다산과 현대
2015 .12
1728년 戊申亂의 진압과 『勘亂錄』의 편찬
한국사연구
2014 .09
『景宗實錄』을 통해서 본 少論의 정치 義理 검토
민족문화연구
2013 .01
謙齋 鄭敾과 少論系 문인들의 후원과 교류(Ⅰ)
온지논총
2011 .01
영남 소론계 가문의 존재와 계승 양상 -봉화 진주강씨 姜恪 가문을 중심으로-
대구사학
2020 .01
少論系 自得的 학문 논리의 연원과 전개 - 崔錫鼎家를 중심으로 -
동방한문학
2020 .01
爲堂 鄭寅普의 墓道文字에 나타난 시대 의식
동방학지
2008 .01
조선후기 지식 패러다임의 변화와 몽예 남극관 - 소론 지식인의 지적 산물, 「謝施子」 -
온지논총
2014 .01
정제두와 서인-노론계의 학술 교유
양명학
2019 .03
한국 근대 민족주의의 발전과 實學
다산과 현대
2016 .12
일제강점기 정인보 실심론의 주체성과 창조적 정신
철학연구
2006 .11
한문학 연구와 20세기 문화 권력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2018 .01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조선후기 필사본 문집 善本書에 대한 일고찰
한국학논집
2008 .12
신중국은 학습 중 : 『학습(學習)』에 나타나는 건국초기 학습의 풍경들
중국근현대사연구
2009 .09
조선시대사 연구의 성과와 국사교육
역사교육
2013 .03
주희(朱熹)의 중(中)개념 연구
원불교사상과종교문화
2017 .03
한국근대양명학에 관한 연구 현황과 전망
유학연구
2018 .01
보민속유산의 의미와 지속
강원민속학
2019 .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