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요약문】
1. 서론
2. 브렌타노와 후설에서 체험에 대한 정적 연구와 동적 연구
3. 1893년 논문에서 지향의 동적 개념의 등장
4. 1894년 논문과 1898년 논문에서 지향의 동적 개념의 전개
5. 『논리연구』에서 지향과 충족의 동적 개념
6. 결어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디아스포라 E. 후설의 이산(離散)의 현상학
철학논총
2019 .07
칸트와 후설의 ‘초월성’ 비교 :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의 개방성의 가능성
철학논총
2017 .04
현상학의 사태에 대한 후설과 하이데거의 다른 이해
현상학과 현대철학
2023 .09
학문 융합 시대의 후설 현상학
인문과학
2015 .01
에드문트 후설의 ‘바깥의 현상학’ - "수동적 지향성"을 중심으로 -
철학논총
2021 .10
후설 윤리학에서 ‘가치’와 ‘사랑’에 대한 비판적 고찰
대동철학
2024 .09
실존의 위기와 죽음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후설 전집 42권에 나오는 ‘실존’과 ‘죽음’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2021 .09
미셸 앙리의 삶의 현상학 -후설의 지향성을 넘어 비지향적 파토스로-
철학∙사상∙문화
2022 .06
후설의 현상학, 정치철학으로서의 한계 : 박인철의 「후설의 정치철학」 논문평
철학
2015 .08
위태로움을 지향하며
제3시대
2018 .06
위태로움을 지향하며
제3시대
2018 .06
후설의 정치철학 : 자유와 공동체의 관계를 중심으로
철학
2015 .02
후설의 피히테 강연: 윤리적 인간이란 무엇인가?
현상학과 현대철학
2024 .06
후설의 현상학에서 이성과 감성의 연속성 문제
철학사상
2015 .08
후설의 윤리학 -현상학적 윤리의 서론적 논의, 흄과 칸트 비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
2015 .01
후설 윤리학으로 본 실러의 『미학 편지』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7 .09
후설의 ‘순수 윤리학’ 이해
윤리연구
2020 .01
후설과 하이데거의 현상학 이해에 관한 소고 : 데카르트 해석을 중심으로
현상학과 현대철학
2016 .06
미셸 앙리의 질료 현상학
철학논집
2017 .01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