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요약문
1. 들어가는 글: 엘렝코스, 혹은 방법론적 성찰 없는 탐구 방법?
2. ‘엘렝코스’ 개념의 형성과 전화
3. 엘렝코스의 구조와 논박의 성격
4. 탐구의 조건: ‘생각하는 바를 솔직히 말하기’
5. 결론을 대신하여: 엘렝코스의 효과와 한계
참고문헌
Resume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소크라테스의 엘렝코스elenchos : 플라톤의 인식론적 위계에서 고찰하는 교육 모델
서양고전학연구
2016 .03
플라톤 초기대화편의 인식론적인 논의들에 대한 고찰
철학연구
2005 .11
Zur philosophischen Leistung des historischen Sokrates
동서철학연구
2018 .01
소크라테스, 삶이 되는 윤리와 예술이 되는 삶
철학논총
2015 .01
벧엘의 은총
신학지남
1958 .06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에 보고된 소크라테스의 철학
대동철학
2009 .01
플라톤 대화편에 나타난 "소크라테스적 대화"의 방법론적 구조
철학탐구
2007 .05
모순과 구별의 문답법: 소크라테스의 논박
대동철학
2010 .01
플라톤의 『고르기아스』에서의 technē와 dynamis
철학사상
2012 .05
벧엘과 길갈마저 썩었다면 (암 4:4-13)
헤르메네이아 투데이
2001 .04
소크라테스 이전 철학자들의 正義 개념에 대한 고찰
서양고전학연구
1991 .12
플라톤의 '디알렉틱' : 초기 대화편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1999 .06
소크라테스의 행동에 대한 이해
철학
2002 .02
야훼와 엘
한신논문집
1995 .11
Sui generis-플라톤의 철학적 드라마
서양고전학연구
2011 .09
플라톤 『필레보스』편의 극적 구조와 대화편 전체의 통일성
서양고전학연구
2014 .09
『변론』에서 소크라테스의 죽음관에 대한 새로운 조명
철학연구
2014 .12
소크라테스의 아크라시아(άκρασία) 불가능성 논제에 대한 아리스토텔레스의 비판
철학
2002 .0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