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한글 요약]
1. 들어가는 말
2. 자연의 두 모습과 인간
3. 자연미와 예술미, 그리고 천재
4. 나가는 말 - 칸트의 자연미 이론의 현대적 의의
참고문헌
[Abstract]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헤겔의 자연미 규정과 아도르노의 비판
대동철학
2005 .01
韓國 美의 特性에 관한 硏究
한국사상과 문화
2008 .01
Beauty
Korea Journal
1971 .06
문화 과정으로서의 자연미 : 풍경으로서의 자연의 발견
철학탐구
2002 .10
자연미와 문화
철학
2006 .02
칸트의 ‘개체 모델적’ 자연미론에 관하여
철학연구
2016 .09
관광객의 미와 숭고 경험에 관한 연구 : TV 기행 다큐멘터리의 언술 내용을 중심으로
인문학논총
2012 .10
Theories of Beauty in Korean Art History
Korea Journal
2007 .09
圓嶠 李匡師의 自然主義的 書藝美學
한국사상과 문화
2017 .01
'미': ' 그 말과 개념과 이론
철학연구
1985 .12
환경미학의 이론적 과제:자연미를 중심으로
철학과 현실
1994 .09
실러의 『칼리아스편지』와 『우미와 존엄』에서 미Schönheit의 이해와 미의 실현에 대한 요구
철학연구
2015 .12
다문화 가정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미용교육 경험 및 관심분야
다문화와 평화
2020 .01
Natural Beauty Along Han River
Korea Journal
1963 .09
『周易』 「賁卦」를 통해 본 ‘服飾美’
동양철학
2019 .01
The Beauty of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Korea Journal
2007 .09
채의(蔡儀)『신미학』(新美學) 에서의 자연미(自然美)에 대한 분석
동서철학연구
2017 .01
Beauty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Prints
Korea Journal
1981 .01
장자와 칸트에 있어서 미 개념 : 실천미와 반성미
동양고전연구
2009 .01
미(美)의 사회적 조건
국어국문학
2003 .1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