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사업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커뮤니티
연구자들이 자신의 연구와 전문성을 널리 알리고, 새로운 협력의 기회를 만들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이에요.
이용수
1. 서론
2. 고조선 문제
3. 한사군 문제
4. 소결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Descriptions of the History of Gojoseon Shown in Foreign Textbooks
THE REVIEW OF KOREAN STUDIES
2007 .12
단군학 정립을 위한 몇 가지 전제
고조선단군학
2003 .06
‘고조선’조와 ‘전조선기’로 본 고조선의 역사적 실체 재인식
고조선단군학
2012 .05
고려ㆍ조선시대의 역사의식과 문화정체성론
韓國史學史學報
2004 .01
고구려사의 귀속문제
고조선단군학
2004 .12
China`s Northeast Project and Korean History
Korea Journal
2005 .03
환웅, 삼조선과 부여ㆍ고구려ㆍ요ㆍ금ㆍ원ㆍ청의 계보 : 지식형태사에 입각한 한국과 방계의 역사
고조선단군학
2007 .06
전근대 동국의식의 역사적 성격 재검토
역사비평
2015 .05
백암 박은식의 고조선 인식 : 신채호와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사학보
2014 .02
‘조선’ 국호로 본 여말선초의 역사인식과 이상국가론
역사와현실
2018 .06
중국소설 《西遊記》 번역본의 조선후기 유통에 관한 연구 : 영남대 소장 번역필사본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역총간
2017 .01
[총설] 최근의 한중관계사·한일관계사 연구의 쇄도와 새로운 동양사 연구 방향의 탐색
역사학보
2014 .09
고조선의 天下觀에 관한 試論
사학연구
2007 .12
북한의 단군민족주의에 대한 검토
고조선단군학
2019 .06
대만의 대학 역사교재 분석 —중국근대사(1840~1910년) 속의 한중관계사를 중심으로—
史叢(사총)
2009 .01
檀君朝鮮, 神話에서 歷史로의 進入過程
고조선단군학
2018 .06
『조선시기』를 통해 본 명인 오명제의 조선력사 인식
고조선단군학
2002 .12
China`s Northeast Project and South Korean-Chinese Relations
Korea Journal
2005 .06
0